한나라당이 총선전략을 '친노(親盧)대 반노(反盧) 구도'에서 '거여(巨與) 견제론'과 '국정심판론' '인물론'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탄핵안 가결 이후 열린우리당의 독주체제가 굳어지는 상황에서 이대로는 승산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한나라당은 26일 운영위원회에서 이같은 전략적 수정을 결정했다.
이날 회의에서 장광근(張光根) 의원은 "한나라당의 제1당은 물건너 갔고 동정론을 통해 정서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며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틈나는 대로 열린우리당 독재를 막자고 주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대표도 이에 적극 찬성했다.
당 공동선대위원장인 박세일(朴世逸) 교수도 이날 취임하면서 "야당의 붕괴는 반드시 민주주의의 위기를 결과하게 된다"면서 열린우리당 견제론을 제기했다.
한나라당이 총선전략을 이렇게 수정한 것은 친노대 반노 구도로 선거를 치를 경우 열린우리당을 도와주는 것밖에 안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탄핵역풍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친노대 반노로 몰고갈 경우 총선구도가 열린우리당이 노리고 있는 '민주세력대 쿠데타세력'의 대결로 변질되면서 한나라당이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열린우리당의 독주 가능성에 대한 여론의 견제심리를 최대한 자극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궁색한 처지에 몰린 야당에 대해 여론의 호의적 반응을 끌어내려는 '동정심' 유발전략이기도 하다.
한나라당은 세부전술로 '국정심판론'과 '인물론'을 구사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평가가 나쁘게 나왔던 점에 비춰 거여(巨與)견제론이 먹혀들 경우 국정심판론 역시 만만치 않은 효과를 가져올 것라는 관측이다.
한나라당은 그 근거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에서 미미하지만 상승무드를 타고 있다는 점을 든다.
여론이 탄핵안 가결에 대한 반발심리에서 벗어나 거대여당의 출현에 대한 경계심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여론의 변화에 거여견제론을 본격 점화할 경우 선거일이 가까워 올수록 여론의 변화는 더욱 확연해질 것으로 한나라당은 기대하고 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