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론조사 전화 "몸서리나요"

여론조사가 '공해' 취급을 받고 있다.

유독 대구.경북에서 그 정도가 심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잇따라 걸려오는 여론조사 전화를 받고 불만을 터뜨리는 유권자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이번 총선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이사항 중 하나다.

◇얼마나 심각한가=대부분의 여론조사 기관이 대구.경북을 집중 공략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N소프레스, 월드리서치, 코리아리서치센터 등 수도권 소재 여론조사 기관은 물론 지역의 유니온리서치, 에이스리서치, 온, 아이너스, 리서치21 등이 가세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이 표본 대상자를 350~500명 선까지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 1천~1천500통 이상 전화를 돌려야 한다.

정치 불신에 따른 부동층과 무응답층이 급증, 여론조사 응답률이 계속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여론조사 업체 관계자는 "500명 모집단을 확보하기 위해 2천통의 전화를 건 적도 있다"며 "응답하는 주민들을 찾을 수 없어 새벽이나 심야에 전화를 돌리는 경우도 있다"고 실토했다.

특히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간의 접전지역으로 꼽히는 대구 동갑 수성갑 수성을, 경북 영주 경주 구미을 등은 여론조사의 집중포화 대상지다.

이들 지역은 탄핵 가결이후 한나라당 텃밭을 와해시킬 수 있는 지역으로 분류, 각종 매체와 언론에서 관심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때문에 거의 매일 여론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한 차례 여론조사를 하는데 드는 경비는 최소 300만원선. 그나마 재정형편이 괜찮은 예비후보는 총선 직전까지 주기적으로 여론조사를 의뢰하는 일도 있다.

보통 10차례 정도 여론조사가 이뤄지며 비용은 1천만원 이상이 든다.

여기다 비용절약 차원에서 후보자가 직접 선거운동원과 자원봉사자를 동원, 유권자를 상대로 면접 조사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유는 뭘까=대구지역 모 후보는 여론조사 비용에만 지금까지 수천만원을 썼지만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

탄핵 후폭풍에다 '박근혜 효과'에 편승, 선거판이 요동치면서 뚜렷한 여론추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권자의 여론추이가 오락가락 할수록 예비후보들이 여론조사에 매달리는 현상이 더욱 잦다.

최근 무소속 후보들이 잇따라 불출마로 돌아선 것도 여론조사의 위력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유니온리서치 권칠용(權七勇) 소장은 "대구.경북의 여론추이가 급변하면서 전국적인 관심지역으로 부상, 여론조사가 엄청나게 이뤄지고 있다"며 "여론조사 의뢰처를 밝히는 여론조사는 물론이고 ARS 기기를 직접 구입, 조사를 하는 예비후보들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