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예비후보들이 다음달 2일부터 동원할 수 있는 선거운동원 문제로 고민에 빠졌다.
일당 3만원에 식대.교통비를 합쳐 하루 4만5천원을 받는 선거운동원 자리를 희망하는 주부들이 줄을 잇고 있지만 선거법상 동(洞)당 3명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비후보들은 한 표도 아쉬운 형편인데 혹시나 선거운동원 자리 경쟁에서 탈락된 주부들의 표를 잃을지도 모르는 일.
특히 이번 선거가 유례없이 돈 안쓰는 깨끗한 선거로 전개되고 있고 선거 운동 감시 또한 강화돼 정원 외 운동원을 고용하는 것이 불가능, 후보들의 고심은 더욱 깊다.
이때문에 후보들은 정예멤버 선발에 기발한 방법까지 동원하고 있다.
10개동을 선거구로 두고 있는 대구 달서구의 한 후보의 경우는 각 동마다 3명씩 30명에다 선거본부 4명 등 34명을 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운동원 희망자들이 많아 심한 내분(?)을 겪은 끝에 선거운동원 30명을 일주일 동안만 고용하고 그 다음 주에는 선거운동원을 모두 교체하기로 했다.
이 후보는 결과적으로 선거운동원을 정원의 2배로 고용할 수 있어 지원자들에게 고루 기회를 줄 수 있게 됐다며 그러나 중요한 동책의 경우엔 고정적으로 고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면 선거구가 통합된 중.남구의 경우 동 수가 26개나 돼 선거운동원을 비교적 넉넉하게 고용할 수 있어 타 선거구 후보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수성구에서 출마 예정인 한 후보는 후보등록과 함께 운동원 등록을 마쳐야 하는데 운동원을 하겠다며 찾아오는 이들이 넘쳐나 정리에 애를 먹고 있다며 선거운동 문화가 많이 바뀌어 금권선거가 되지 않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선거운동원이라도 충분히 고용할 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