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선자 명단' 선거 판세에 영향 미칠까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이 여드레 남은 판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6일 낙선 대상자가 발표되자 당장 선거 현장에선 낙선 명단이 화제로 떠올랐다. 이날 한나라당 주성영(朱盛英.대구 동갑).안택수(安澤秀.대구 북을).장윤석(張倫碩.경북 영주) 후보 등이 낙선 대상자로 지목되자 상대 후보들은 "국회의원 자질도 안 되는 부적격자"라며 일제히 성토, 분위기가 달아올랐다. 일부 후보측은 밤 늦게 휴대폰 문자 메시지까지 보낼 정도였다.

그러나 실제 낙선 대상자 명단이 지역 표심에 어느 정도 영향을 행사할 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낙천.낙선운동이 뜨겁던 지난 16대 당시 낙선율이 68.6%(59명)에 달했고 수도권은 무려 95% 수준이었지만 지역 한나라당 후보들은 싹쓸이 태풍을 업고 영향권 밖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낙선 대상자로 지목된 안 후보나 한나라당 김광원(金光元.영양영덕울진봉화).이상배(李相培.상주) 후보는 16대 때에도 낙선자로 꼽혔으나 별 '탈'이 없었다.

물론 낙선 대상 후보들로선 억울하기 이를 데 없다. 자의적이고 편파적 선정 잣대라는 비난도 적지 않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총선연대가 열린우리당의 2중대라고까지 비난했다. 하지만 낙선운동이 한국 정치사에 변화의 단초를 제공했고 새 정치 구현이란 과제를 부여했다는 의미도 크다.

현재 총선연대가 처한 외부 여건이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총선연대측이 낙선 대성자를 겨냥, "국민을 무시하고 온갖 비리와 반유권자적 정치행태를 보여왔던 정치인들울 심판하자"고 외치곤 있지만, 향후 불어 닥칠 '위법논쟁'의 파고를 넘을지 장담할 수 없다. 당장 한나라당은 이날 '헌법유린'을 외치며 중앙선관위를 향해 "불법행위를 강력히 엄벌하라"고 공세를 강화했다. 한나라당 한 관계자는 "낙선대상자로 뽑힌 것이 오히려 지역내에서 시민단체로부터 '탄압'을 당한 것으로 비쳐져 그리 불리하게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내심으로까지 마음을 놓고 있을 수는 없는 것 같다. "한나라당 싹쓸이 만큼은 막아야 한다"는 지역 여론이 적지 않다. 또 비(非) 한나라당 후보이긴 해도 16대 당시 대구에서 낙선 대상자 5명 중 4명(박철언.서훈.엄삼탁.김한규)이 낙선됐고 경북 역시 6명 중 3명(김윤환.허화평.권정달)이 떨어진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 대구시지부 관계자는 "이번 만큼은 16대 때와 지역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고 판단한다"며 "낙선 대상자 명단이 지역 표심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