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의 깨인 의식과 '신고자 50배 포상금' 등으로 법정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2일 이후 불법선거 고발 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향응 제공과 금품 살포가 사라지는 등 클린 선거를 지향하는 '선거문화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후보들은 "돈을 쓸 곳이 없다"며 바뀐 제도에 흡족해하는 반면 종전 선거특수를 누리던 음식점, 관광업계 등은 "역대 선거사상 최악의 불황"이라며 울상짓고 있다.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운동일 이전인 지난 1일까지 197건의 선거법 위반 사례를 적발, 이중 20건을 검찰에 고발하고 4건을 수사의뢰했으나 2일 이후에는 수사의뢰만 1건이 있을 뿐 고발은 1건도 없다.
대구경찰청도 2월부터 지난 1일까지 선거법 위반으로 10명을 구속하고 18명을 불구속 입건했으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고 난 이후에는 고작 2명을 불구속 입건하는데 그쳤다.
선관위와 경찰 관계자는 "감시의 눈길이 워낙 강한데다 내부 고발도 많아 후보들이 몸조심하고 있다"며 "단속 인력이 대폭 늘었는데도 적발은 사소한 위반 사항밖에 없다"고 밝혔다.
대구 북구의 한 후보는 "선거법에 저촉되지 않게끔 활동하다보니 조심하는 수준이 아니라 위축될 정도"라고 푸념했다. 수성구에 출마한 한 후보측도 "자칫 독을 깰 수 있어 사소한 문제에도 선거법에 저촉되지나 않는지 일일이 신경쓰고 있다"며 "후보나 선거운동원 모두 노이로제에 걸릴 정도"라고 털어놨다.
선관위가 금품살포를 집중단속하고 내부고발자까지 늘면서 후보들이 돈을 풀지 않아 조직의 반발이 일어나는 등 후유증(?)도 없지 않으나 후보들은 "차라리 잘됐다"며 내심 즐거워하는 분위기다.
달서구 한 후보사무실 경리담당자는 "선거운동원들은 '물'(돈) 내려오기를 기대하는 눈치이지만 이 판에 누구를 믿겠느냐"며 "조직이 다소 돌아가지 않아 조바심이 나지만 법에 정해진 일당밖에 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모(57.대구시 수성구)씨는 "예년같으면 계모임 등 각종 모임때면 출마 후보자들을 불러 찬조토록 하고 술밥도 얻어먹곤 했지만 이젠 아예 기대조차 않는다"며 "선거판이 아주 맑아진 것 같다"고 했다.
상대후보의 약점을 파고들기 위한 성명전은 활발하나 선거판을 혼탁하게 했던 흑색선전과 폭로 비방전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는 게 선거관계자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경북대 김사열(金思悅) 교수는 "선거 분위기를 전혀 느끼지 못할 정도로 선거운동이 깨끗해졌다"며 "대선자금 수사 등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이번 선거를 통해 올바른 선거문화가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총선취재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