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고.과학고 등 특수목적고(특목고) 진학 열풍은 여전히 거세다.
'사교육비 경쟁은 특목고 입시에서 시작된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초등학교 때부터 준비하지 않으면 들어가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왜 특목고냐'가 문제다.
말 그대로 외국어나 과학 분야에 특별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모아 가르치는 '특수목적 고등학교'이지만, '특목고=명문대 진학'이라는 이상한 등식이 생긴 지 오래다.
외국어고를 졸업한 뒤 의대에 진학하고, 과학고 출신들이 법대에 들어간다.
그 결과 명문대는 이들이 점령하는가 하면, 어느 새 특목고는 평준화의 틀을 합법적으로 벗어나 '틈새시장'이 돼버렸다.
▲이 같은 파행은 청년실업과 고용 불안, 평균 수명 연장과 정년 단축 등 신자유주의적 사회 변화와 맞물려 있기도 하다.
하지만 특수한 목적을 위한 학교가 이렇게 변질됐다면 형평성을 따지기 전에 원래대로 되돌리는 게 옳다.
공교육은 소수의 특권층에 특별히 교육받을 권리를 부여하기 위한 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동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해 줘야 한다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지금 중3 학생들이 고교에 진학하는 내년부터 외국어고.과학고 등 특목고들이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을 둘 수 없도록 사실상 선택을 막을 움직임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내일 이런 내용을 담은 7차 교육과정 수정고시 방안을 논의, 오는 8월 손질을 하게 될 것으로 알려진다.
이렇게 되면 외국어고생이 의대 진학이 힘들어지고, 과학고생이 법대에 들어가기 어려워지게 된다.
▲지난 1997년 고시된 7차 교육과정은 2002년부터 고교에 적용되고 있으며, 외국어고와 과학고는 총 교과이수 단위의 10%(19단위)를 늘려 운영할 수 있게 돼 있다.
이에 따라 설립 취지와 다른 진학이 가능해 파행으로 치닫기도 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그 10%를 전문 교과에만 한정하기 때문에 사정이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다만 외국어고의 경우 동일 계열 외에 인문.사회 계열 진학에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배려하는 방안도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빠르게 변하는 세계에 대응하려면 근시안에서 벗어나 넓게 멀리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우리 교육은 학생들이 자기의 개성을 살려 진학할 수 있도록 진로 선택의 폭을 넓혀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다.
특목고나 자립형 사립고가 많이 세워지고 이들 학교가 원래 목적에 맞게 운영된다면 교육의 다양성과 영재 양성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사실은 더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그러나 단순히 명문대 진학에 유리하기 때문에 선호되는 '특목고=명문고'라는 혼란은 지양돼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