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해군의 파병,노무현의 파병

1618년(광해군 10년) 명나라는 조선에 국서를 보내 만주족의 후금(後金) 정벌에 군대를 보내 지원할 것을 요구했다.

조선이 명나라를 종주국으로 섬긴다고는 하지만 실질적 독립성은 피차 인정하는 것이었고, 파병 요청은 두 나라 사이 역사를 통해 극히 이례적인 일이었다.

이런 이례적 요청이 나오게 된 데는 이유가 있었다.

바로 20년 전까지 명나라는 임진왜란에 참전해 조선이 일본 물리치는 것을 도왔다.

이것도 두 나라 사이 역사에서 이례적인 일이었다.

멸망의 위기에 빠진 나라를 되살려준 재조지은(再造之恩)을 갚기 위해 명나라에 어떤 도움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명나라의 요구만이 아니라 조선 지배층에 널리 퍼져 있던 인식이었다.

광해군은 이런저런 핑계로 파병을 거절하려 했으나 명나라의 단호한 요구와 신료 대부분의 확고한 명분론을 이기지 못해 이듬해 2월 1만의 병력을 강홍립(姜弘立)의 인솔하에 파병했다.

그러나 불과 십여 일 후 후금군과의 첫 전투에서 명군이 참패를 당할 때 조선군 부대는 후금군에게 전면 투항하고 말았다.

(중략)

광해군이 1618년 명의 파병 요청을 거부하려 할 때 많은 신하들은 명분을 내세워 파병을 주장했다.

안팎의 압력을 이기지 못해 군대를 보내면서도 광해군은 후금과의 관계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는 것을 막도록 만전을 기했고, 그 결과 주어진 상황 속에서는 최선의 결과를 끌어냈다.

그러나 그가 명에 맹목적인 충성을 바치지 않았다는 비난은 그의 반대파 속에서 사그러지지 않아 결국 쿠데타의 중요한 명분이 되었다

세계평화에 대한 미국의 도발로 지목되는 이라크사태에 미국을 돕기 위한 파병을 우리 정부가 결정한 것은 불행한 일이다.

'평화의 파괴자'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된 국민에게도 불행한 일이거니와 노무현 정권에게는 더더욱 불행한 일이다.

이 불행을 북핵사태 해결로조차 보상받지 못한다면 광해군보다 나은 대접을 바랄 길이 없다.

김기협(역사학자.프레시안 2003년 10월27일)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