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民生 뒷전, 서민은 '영원한 敗者'

민주주의의 향연(饗宴)으로 인한 '그늘진 부문'은 두말할 나위 없이 '경제'가 될 것이다.

총선에 쏟았던 국민적 역량을 한시 바삐 민생 챙기기로 물꼬를 트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잔치가 끝나면 즉시 평상심으로 돌아와 얼마나 서민들과 함께 호흡하느냐가 바로 국민이 원하는 정치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이 개혁의 우선순위로 '민생경제 살리기'를 제시하고 나선 것이나 총선에서 의회 과반을 내 준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도 향후 당의 운영 방향을 변함없이 '경제살리기'와 '정책정당'에다 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처사다.

문제는 그런 발언들이 정치권에서 늘 상 있어온 인기 홍보용 발언으로 끝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특히 새 국회 개원을 앞두고 예상되는 돌출적인 악재를 방지하기 위한 '방패용'으로 두루뭉술하게 누구나가 인정하는 경제문제를 들고 나온다면 그야말로 상황을 크게 오판한 국민기만 행위가 아닐 수없다.

지금 '죽을 맛'이라는 서민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것은 총선에 묻혔기 때문이지 목소리가 작아진 것은 아니다.

앞으로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더욱 강해질 것이 틀림없다.

거의 한계점에 도달한 국민의 오열(嗚咽)을 생각한다면 정치권은 '잔치 분위기'를 즉시 접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우리 경제의 문제점은 대부분 노출돼 있다.

이대로 가면 '2만달러'는커녕 '5천달러'로 추락할 것이라는 비관론도 만만찮다.

높아지는 경제 불확실성, 그리고 대책없는 실업자군(群), 불신을 부추기는 사회분위기, 외채(外債)의 위기에서 벗어나는가 싶더니 이제는 국가 전체가 빚더미인 내채(內債)의 위기가 우리를 엄습하고 있다.

이런 것들은 단순히 정치적으로 해결될 성질의 것이 아니다.

자기 희생없이는 해결하기 힘든 것들이 아닌가. 정치판에야 승자와 패자가 있을지 모르지만 우리 서민들은 영원한 패자라는 느낌이 든다.

정치 승패에 관계없이 민(民)이 항상 승리하는 것, 그것은 바로 경제를 살리는 길 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