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인의식'이라는 말이 유행이다.
일상생활에서, 직장 내에서 웃사람이 아랫사람을 나무랄 때 빠지지 않는 말이기도 하다.
주어진 일을 '처삼촌 벌초하듯' 생각없이 대충대충하는 것을 일깨워 주려는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주인의식을 가지라'는 한마디는 듣는 사람의 가슴을 아프게 파고들기 마련이다.
흔히들 공직자를 '공복'이라 일컫는다.
말 그대로 '심부름꾼'이다.
언뜻 '심부름꾼'이 갖는 이미지는 시키면 시키는 대로 단순하게 피동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기 쉽다.
하지만 제대로 된 '심부름꾼'이라면 무언가 달라야 한다.
심부름 도중에 생각지 않은 장애물이 나타날 수도 있고 뜻하지 않은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럴 때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그같은 상황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할 것이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는 적극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공직자에게도 주인의식이 필요한 이유다.
이제는 모든 것이 변했다.
또 변하고 있다.
사회의 각 분야가 전문화.세분화되었고, 국민들의 의식 또한 크게 높아져 있다.
공직자가 생각없이 시키는 대로 하는 단순한 '심부름꾼'으로 남아있다면 세상의 흐름을 읽지 못한 뒤처진 심부름꾼으로 낙인찍혀 주인이기도 한 국민들의 눈 밖으로만 맴돌게 될 것이다.
큰집의 주춧돌과 같은 듬직함은 온데간데 없고 결국에는 천덕꾸러기로 도태되어 주인의 기억에서 사라지고 말 것이다.
공직자들은 단순히 시민의 심부름꾼이라는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그 어느 때보다 '주인의식'을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장영환(하양읍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