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국회의원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KBS.MBC에 대한 중징계를 의결했다.
언론의 정확성을 다시 뒤돌아 보게 한다.
지난 15일 총선 개표방송에서 정당별 의석수를 잘못 예측해 이를 내보낸 KBS와 MBC에 대해 '시청자에 대한 사과'를 결정한 것이다.
중대한 오보(誤報)라는 결론 도출이다.
우리는 공영방송의 '총선과 관련한 개표방송의 반복적인 오보'를 기억하고 있다.
16대 총선에서도 예측 잘못으로 '시청자에게 사과하라'는 선거방송심의위원회의 결정이 있었다.
경미한 제재인 주의.경고 등과는 달리 법정제재인 '사과'라는 의결을 거듭 받은 공영방송, 이미지 훼손이다.
언론의 기능과 사명은 근본적으로 정확성에 기초한다.
정확한 보도, 이 움직일 수 없는 사안에 대한 이행여부를 시청자나 독자들이 늘 주목하고 있고 매체의 신뢰성도 판단한다.
신속성은 차후(此後)의 문제다.
방송위원회의 지적을 공영방송은 치열한 성찰(省察)의 기회로 삼았으면 한다.
객관성이 결여된 보도 행태가 '언론의 오만'에서 비롯됐다는 비판도 감수할 송신자(送信者)의 태도가 바로 커뮤니케이션 장애 제거다.
우리는 선거방송심의위원회가 제기한 선거방송시스템에 대해서도 주목한다.
심의위원회는 "15, 16대 총선에서도 출구(出口)조사와 관련한 방송보도가 문제됐는데 이번에도 정확성에 문제가 있는 예측조사를 보도했다"고 했다.
개선작업의 소홀에 대한 질책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시스템에 잘못이 있으면 방송사의 공동해결작업, 당연한 것 아닌가.
언론은 늘 국민들로부터 보도의 균형유지를 요구받고 있다.
이해를 달리하고 어느 사안보다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는 선거는 더욱 그렇다.
공영방송이 존재해야 하는 목적도 흐트러지지 않는 균형감각에 대한 기대에 있다.
한데도 공영방송에 대한 평가가 전적인 동의를 받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는 점을 KBS나 MBC는 유념할 일이다.
쓴소리 귀담아 들어야 한다.
전파는 국민의 재산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