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궁중상화 전시관 여는 김태연 교수

"우리 고유의 궁중문화가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까워 이 일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지역의 많은 분들이 전통문화의 재현에 관심과 성원을 보내줬습니다".

종이로 만든 꽃, 궁중상화(宮中床花)가 대구대 주거환경디자인학과 김태연(金泰燕.56) 교수에 의해 재현된다.

궁중의 대연회때 격조를 높이기 위해 잔칫상에 올려진 상화는 생화를 구할 수 없었던 옛날 장식용 조화(造花)로 주로 사용했다.

영천시 대창면 조곡리에 마련된 '궁중상화 연구소 및 전시관'은 김교수가 살던 집을 개조해서 만든 것이다.

5월 1일 개관을 앞둔 전시관은 전통행사에 주로 사용됐던 지화(紙花)와 상화(床花)를 비롯, 형형색색의 종이꽃들이 한껏 자태를 뽐내며 손님맞이에 여념이 없다.

전시관 2층은 김 교수가 제작한 궁중상화 19점과 혜경궁 홍씨 회갑상에 사용됐던 상화 42점이 전시될 예정. 전시된 상화들은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TV드라마 '대장금'에서 임금의 연회 장면에도 나왔는데, 이는 김 교수의 자문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전시관 입구에는 우리나라 지화계의 최고 장인들의 작품이 나열돼 있다.

특히 인간문화재 김석출(84)옹이 동해안 별신제 때 사용한 다부살이(다시 산다는 뜻)꽃과 김태숙(대구대 평생대학원 교수)씨가 재현한 고(故) 이도주 스님이 수륙재 때 사용한 전통지화 등은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작품들이다.

또 이기원(영산재 장엄지화장인)씨가 영산재에 쓰이는 살모란과 작약으로 부채난 등을 치고 부처님 앞에 장식하는 팽이난, 은산별신제의 국화 등이 전시돼 우리 전통의 종이꽃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예전에는 이같이 조화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장인을 '꽃일장이' 즉 화장(花匠)과 조화장(造花匠).지화장(紙花匠)으로 부르며 인기직업으로 꼽았습니다". 그는 "현재 궁중상화를 연구하고 재현하려는 사람이 드물다"면서 "소중한 문화유산들이 계승자가 없거나 만들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번 전시관 개관과 함께 내달 28일부터 이틀간 한국화예디자인학회 총회를 대구대에 유치하고,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전통꽃교실'과 같은 가족단위의 프로그램도 마련하는 등 궁중상화에 대한 일반인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영천.이채수기자csle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