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재창당 없던 일 될 듯

박근혜 대표 "박세일 당선자 개인의 의견일 뿐"

지난 총선 때 한나라당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박세일(朴世逸) 당선자가 29일 당 연찬회에서 제기한 재창당론을 두고 당내에서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박 당선자의 주장은 한나라당은 과거와의 단절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철저한 과거 청산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박 당선자는 그 방법론으로 △당을 해산하고 재창당한 뒤 원내대표를 17대 교섭단체 등록과 함께 선출하는 방안(법률적 청산) △법률적 청산은 하지 않고 전당대회에서 당명과 강령, 정강정책 등을 바꾸는 방안(정치적 단절) 등 두가지를 제시했다.

이에 대한 당내 반응은 부정적이다.

한나라당이 청산해야 할 부정적 유산도 있지만 계승해야 할 긍정적 자산도 많으며 청산은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장파 등 일부 의원들은 재창당의 현실적 가능성 여부를 떠나 그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입장이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강재섭(姜在涉) 의원은 연찬회 도중 "당명개정 등을 통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하지만 당을 청산하는 것은 절대 맞지 않다"며 강력하게 제동을 걸었고 이상득(李相得) 의원도 "대선에서 2번 지고 살아남은 역사적 정당이다.

뿌리까지 흔들지 말라"며 반대했다.

수도권 출신 의원들도 대부분 부정적 반응이다.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뭘 모르고 한 소리"라며 비판했고 권영세(權寧世) 의원도 "재창당 수준으로 당을 개혁하자는 의미에는 동의한다"며 재창당론은 공상에 가깝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반해 원희룡(元喜龍) 의원은 "재창당 문제는 충분히 검토해 볼 수 있고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고 본다"며 박 당선자의 주장에 공감을 표시했고 김무성(金武星) 의원도 "당의 정체성 유지를 전제로 모든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재창당론에 심정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의원들도 재창당의 현실적 문제와 과거의 인위적 단절에 대한 여론의 향배 등을 고려할 때 쉽게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데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당의 정체성을 둘러싼 논의과정에서 재창당론은 그 취지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에서 '제2창당론'에 자리를 내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논란이 확대되자 박근혜(朴槿惠) 대표도 "박 당선자 개인의 의견일 뿐"이라고 의미를 축소했다.

박 대표는 그러면서 "당이 거듭 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일 뿐이며 재창당 문제는 당내 논의를 거쳐 결정할 문제"라며 논란을 서둘러 봉합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사진 : 박근혜 한나라당대표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연찬회에서 '재창당론'을 공개적으로 제기한 박세일당선자와 뭔가를 논의하고 있다.(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