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총선 결과 열린우리당의 제1당 부상으로 참여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의 공공기관 유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미 지난해부터 정부가 선정한 245개의 공공기관 가운데 유치 가능 대상기관을 선정, 유치단을 구성하고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및 지역정치권 등과의 공조체제를 통한 물밑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정부에 대한 건의활동 등도 펼치고 있다.
11개 분야 33개기관을 중점 유치대상 기관으로 선정한 대구시는 두 차례에 걸친 지하철 관련 대형참사 이후 대구를 방재거점 및 안전의 메카도시로 육성키 위한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방재산업과 관련된 한국산업안전공단과 한국가스안전공사 및 한국전기안전공사, 국립방재연구소 유치에 기대를 걸고 있다.
아울러 시는 전력개발 분야인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전력기술 및 한전기공을 비롯, △기업고용분야 4개기관 △연금보험 분야 4개 △국토관리 2개 △교통 2개 △교육학술 4개 △정보기술 3개 △과학기술 2개 △산업기술 3개 △문화산업 2개기관 등의 유치에 나서고 있다.
34개 기관 유치를 추진 중인 경북도는 구미 전자산업단지의 특성을 최대한 살린다는 명분을 내걸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전산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의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아울러 국립 경주국악원 유치 및 문화엑스포 '종합문화테마파크' 조성 등을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관광공사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유치도 적극 추진 중이다.
또 동해안을 해양생명산업 중심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경북해양연구단지를 조성 중이며, 이미 울진 앞바다의 경우 바다목장화 사업지로 선정된 점을 내세워 한국해양연구원과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한국해양수산연구원이 옮겨 오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밖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농업기반공사 등 농업관련 기관 6곳과 함께 한국도로공사와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등의 유치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에너지 관련기관으로 한국전력공사 등 9개, 첨단과학기술 분야 5개 기관 등에 대해서도 지역적 특성과 기존에 들어서 있는 유관기관과의 협력 등을 앞세워 유치를 추진 중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역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기관 유치에 우선 순위를 두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이전 대상기관을 상대로 적극적인 교섭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김수용기자 ks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