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공공기관 유치, 대구.경북 合作品으로

총선이 끝나기 무섭게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놓고 전국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정부는 늦어도 오는 8월까지는 1차 계획을 발표하겠다고 하니 지자체로서는 시일이 촉박한 셈이다.

대구.경북의 목표는 두말할 나위 없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문화 창달에 절실한 기관을 얼마나 많이 유치하느냐다.

물론 다른 지방정부의 입장도 마찬가지이므로 무조건 목소리를 높인다고 될 일이 아니다.

유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논리 개발이 성패의 잣대가 될 것이다.

특히 대구와 경북의 경우 '협력과 화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두 지자체가 같은 목소리로 '기브 앤드 테이크'전략을 세운다면 효과는 배가된다.

그러나 대구와 경북은 지리적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유치 희망기관도 많아 자칫 자존심 싸움에 쪽박이 깨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중점 유치대상 기관을 보면 대구시는 지하철 참사와 관련, 방재거점 및 안전의 메카도시로 육성키 위해 한국산업안전공단과 한국가스안전공사 및 한국전기안전공사, 국립방재연구소 유치를 제1 목표로 하고 있다.

경북도는 구미 전자산업단지의 특성을 최대한 살린다는 명분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전산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의 유치를 갈망하고 있다.

언뜻보면 대구.경북이 다른 목표를 갖고있는 것 같지만 한 단계만 내려가면 당장 공통점이 노출된다.

생물.한방, 문화.관광, 신소재, 임베디드산업 등이 대구와 경북의 공동사업이 아닌가. 두 기관이 손을 잡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따라서 대구시와 경북도의 네트워크 구축은 공공기관 유치의 전제조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측면에서 최근 조해녕 대구시장이 시.도 통합과 관련, 경북도를 폄하한 듯한 발언은 자칫 화합을 해치지 않을까 우려된다.

시와 도의 행정적 경계는 의미가 없다.

지역민이 원하는 것은 대구.경북의 '경제 살리기'다.

오로지 이를 바탕으로 두 기관은 공공기관 유치에 임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