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철강업계 '중국쇼크'에 이어 '오일쇼크'까지

철강업계는 중국쇼크로 충격을 받은 상황에서 에너지 비용 부담이 가중되면서 초비상 상황을 맞았다. 포항.광양 두 곳에서 제철소를 운영하면서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8%를 소비하는 포스코는 유가급등이 몰고 올 파장을 더욱 우려하고 있다.

포스코 자체로는 주요 에너지원을 석탄에 의존하면서 석유를 사용하지 않는(Oil-less) 조업을 하는 탓에 국제유가 인상이 당장 생산원가 부담요인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포스코 관계자는 "작년 한해 동안 전체 에너지 구입비용 1조5천718억원 가운데 유류비는 0.7%인 114억원 정도에 불과해 유류인상에 따른 직접 타격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측은 그러나 유가급등이 사회 전반의 물가인상과 소비둔화 및 기업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해 철강업계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고, 특히 최우선으로 타격이 예상되는 자동차나 조선, 기계.전기.전자 등 주요 철강 소비산업의 경기위축에 따른 연쇄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철근.H빔 등 모든 제품의 생산동력을 한전이 공급하는 전기로 조달하는 전기로(電氣爐) 철강업체들의 사정은 더욱 급박하다.

INI스틸 포항공장은 작년 한해 동안 모두 1천100억원 가량의 전기료를 부담했는데 폭등하는 유가가 전기요금에 반영될 경우, 올초 고철 등 원자재 대란에 이어 에너지 대란이 불가피하고 이것이 상당한 원가부담 가중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작년에만 540억원의 전기료와 408억원의 유류비를 부담한 동국제강 포항제강소 역시 유가급등에 따른 상당폭의 원가상승 압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게다가 이들 전기로 철강업체들은 이번 오일쇼크가 '유가상승 →물가인상→소비둔화→생산둔화'의 절차를 밟으면서 급격한 경기위축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은데다, 물가인상은 본궤도에 접어든 올해 노사간 임단협에도 악재로 작용할 것이 불가피하다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편 포항상의 등 경제계는 정부가 유가인상에 따른 고충을 고스란히 기업이나 가계로 넘기기보다는 유류에 붙는 세금을 낮추거나 기타 세재혜택 제공 등 보완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