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대통령, 부시 '차출'설명에 동의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방침이 확정된 17일 부시 미국대통령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17분여동안 통화했다.

노 대통령의 직무복귀를 축하하는 전화였지만 주요 관심사는 주한미군의 이라크 파병문제와 한국군의 이라크 추가 파병문제였다.

두 정상간의 전화통화는 노 대통령 취임이후 이번이 8번째였고 지난 2월19일 북핵6자 2차회담과 베이커 전 미국무장관의 방한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전화한 후 3개월여만이었다.

양국정상간 통화내용 중 가장 주목되는 부분이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날 전화통화는 사실상 부시 미 대통령이 실무협의가 끝난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문제를 최종적으로 통보하기 위한 통화였던 셈이다.

부시 미 대통령은 먼저 노 대통령의 직무복귀를 축하했고 이에 노 대통령은 사의를 표명했다고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어 부시 대통령은 "성공적인 이라크 주권 이양을 위해 주한미군의 일부 차출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고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은 이해를 표시했다고 윤 대변인은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주한미군의 차출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대한방위공약에는 변함이 없음을 확인시켰다.

노 대통령은 한국군의 이라크 추가파병문제에 대해 직무복귀이후 처음으로 입을 열었다.

"노 대통령은 '국민을 설득하고 국내적인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고 있다'는 취지로 얘기했다"고 윤 대변인이 전했다.

그러나 윤 대변인은 "부시 대통령이 조속한 이라크 추가 파병을 공식 요청했느냐"는 질문에는 "미국 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우리가 (자의로) 소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확인을 거부했다.

윤 대변인의 이같은 모습은 추가파병을 둘러싸고 재검토 논란이 이는 등의 국내상황을 감안한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양국정상은 이밖에 북핵문제 등 상호관심사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고 노 대통령은 "북핵문제 핵결에 실질적 진전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