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이용하여 대구.경북지역에서 많은 업무를 보는 사람으로서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반드시 개선해야겠다고 생각하는 도로별 제한속도의 불합리함과 단속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도로의 제한속도는 설계시에 결정된다고 들었다.
그런데 대구·경북의 간선도로의 제한속도가 시속 60㎞인 곳이 많다.
대구의 앞산순환도로, 서변대교 등은 지금의 자동차 기술과 도로의 성격상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곳이다.
그렇다면 제한속도를 설정하는 책임자나 과속을 단속하는 경찰관은 과연 얼마나 제한속도를 잘 지키는지 묻고 싶다.
사실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제한속도 60㎞를 지키는 차량은 거의 못 본 듯하다.
단지 제한속도를 지키는 차량이 있다면 초보운전자나 화물차, 그리고 단속카메라 인근 차량들이다.
그런 불합리한 제한속도의 도로에서 몸을 숨기고 카메라로 단속하는 경찰관의 모습을 볼 때 과연 교통경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건지 의문스럽다.
교통 안전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현실적인 제한속도 설정과 소통 원활 위주의 업무 수행이 필요한 게 아닐까. 한 단계 성숙된 교통정책을 기대해 본다.
최성욱(인터넷 투고)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