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각-전 국민이 교육전문가

모든 국민들에게 교육문제는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으며, 당국에서도 민감한 교육적 사안이나 교육정책을 결정할 때는 국민 여론에 귀기울인다.

과열된 교육열로 국민 모두가 교육전문가(?)가 되다시피한 지금, '교육문제를 인식하는 올바른 방향' 특히 우리의 대학 입시문제에 대해 진지한 성찰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교육현장에서 보고 듣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수능시험의 문제가 너무 어렵고 출제 방식이 고등학교 교육과 서로 맞지 않으니 수능의 비중을 약화시키거나 아예 철폐하자는 주장이 있다.

시험문제가 어렵다는 사실에 대해 수능시험은 학생들의 통합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측정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기 때문에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한 일부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렇다고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통합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출제방식을 포기할 수는 없는 일 아닌가? 또한 '출제방식이 고등학교 교육과 맞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상당수 고등학교에서 내신 부풀리기 현상으로 시험문제가 쉽고, 교육방법이 아직도 단순 암기적인 경향이 있다.

과연, 수능시험 출제 방식에 문제가 있는지 일부 고등학교의 교육방법에 문제가 있는지 본질적으로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교육의 본질은 단순 암기식 지식위주가 아니라 통합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기르는 데 있으므로, 학교교육의 방법에서 개선책을 찾는 것이 올바른 인식이다.

둘째, 수능점수에서 보듯 도시학생들이 농촌학생들에 비해 유능하므로 고교 내신성적은 도.농간에 차등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리있는 말이다.

그러나 수능점수 격차의 원인에 대해 분석해보자. 농촌학생들이 도시학생들에 비하여 지적 능력과 수학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능점수가 낮게 나오는 것인가? 아니면 시골의 교육환경(학원이나 대학생 개인지도의 수혜, 소득격차)이 도시에 비해 불리하여 낮게 나오는 것인가? 만일 그 원인이 학생들의 지적 능력이라기보다는 열악한 교육환경에 있다면 국가는 어떤 방법으로든지 불리한 시골 학생들에게 제도적으로 보상해주어야 한다.

이것이 '역(逆) 차등원리'인데 지역.계층.성별로 불평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불리한 집단에게 다소 유리하게 보상해주는 것이 결과적 평등의 실현을 추구하는 선진 민주국가의 인식이다.

내신성적을 도.농간에 일률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수능에서 불리한 농촌학생들에게 내신에서 유리하게 보상해주는 제도는 교육사회학의 전문적 입장에서 볼 때 합당한 제도이다.

결론적으로, 교육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이 부족하거나 올바르지 못한 여론으로 인해 국가 교육정책에 혼선이나 오류라도 생긴다면 이는 중대한 과오이다.

우리의 교육적 사안들은 정치, 경제 등 제반 사회적 여건과 구성원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원인과 대안을 찾아내는데 명확하고 깊은 교육적 통찰력과 전문적 혜안이 요구된다.

성용구(대구교육대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