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법 못찾는 대구 버스 파업

경북지방노동위원회가 쟁의 조정 시간을 연장해가면서 총력을 기울인 대구 시내버스 쟁의는 끝내 노사간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24일 밤 11시까지 다양한 방법의 접근 모색도 역부족이었다.

경북지노위(地勞委)의 결론은 '조정중지'였다.

결국 노사가 제 갈길을 간것이다.

전국자동차노련 대구버스지부는 25일 새벽부터 파업에 돌입, 1천700여대의 시내버스가 움직이지 않았다.

노사가 양보해 파업을 빨리 끝내라는 것은 절대원칙이다.

매년 대구 시내버스의 파업은 늘 잠복해 있었다.

따라서 관계기관은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

조정회의 때마다 노조 대표들이 토로해대는 "대구시 믿지를 못한다"는 배경을 공직자들은 뒤돌아봐야 한다.

노조 대표들도 파업이 능사가 아니라고 했고 승객이 15~20% 줄어들어 결국 제살 도려내는 아픔이라고 허탈해 했다.

노조는 조정회의서 요구조건을 수정해 임금인상률을 10%로 내렸으나 대구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임금동결을 고수했다.

'조정중지'의 사유도 노사간의 현격한 의견 차이가 중요 원인이었다.

대구시는 버스준공영제 도입을 밝히고 있다.

대중교통체계의 개편이라고는 한다.

실시시기에 대한 개괄적인 방안 정도는 제시돼야 한다.

장용태 전국자노련대구버스지부장은 연구 검토, 용역 발주 수준의 약속은 안하겠다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고 반문하고 있다.

준공영제도, 노사의 합의 없으면 공염불이다.

대구시의 가시적인 노력이 요체다.

우린 묻고자 한다.

조정회의 과정서 나온 '버스 노선 입김설'은 무엇인가. 국회의원 노선 있고 힘깨나 있는 분의 노선이 있다니 어이가 없다.

아직도 대구 사회가 사회적인 동의가 아닌 엉뚱한 힘에 의해 계획이 바뀌어 진다면 민망한 일이다.

대중교통체계 개편, 서둘러야 한다.

필요하면 노선개편도 실시하라. 매년 되풀이 되는 노사간의 쟁의사태를 해결할 노사간의 치열한 노력도 있어야 한다.

사업주의 경영 투명성 확보, 노조의 합리적인 요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머리 맞대고 합의를 이끌어내라. 파업은 빨리 끝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