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한증'치료 이렇게

날씨가 더워지면 걱정이 하나 늘어나는 사람들이 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들이다.

다한증은 정상적인 생리적 요구량 이상의 땀을 흘리는 질환이다.

땀을 흘린다는 것은 생리적으로 항상성의 조절 뿐 아니라 노동의 성실함을 표현하지만 그 양이 매우 많을 때는 불편하고 심리적으로 위축된다.

다한증은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구분된다.

일차성은 신체에 특별한 이상이 없이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 등 특정부위에 땀이 매우 많이 나는 것이다.

이차성은 비만, 갑상선기능항진증, 불안장애, 폐경 등 전신적인 신체 질환이 있으면서 온 몸에 땀이 나는 경우이다.

이는 원인 질환부터 치료를 해야 한다.

일차성 다한증은 기온에 대한 반응보다 심리적 요인이 많이 작용하나 아무래도 여름철에 불편을 많이 느끼게 된다.

특히 손바닥 다한증은 일상 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

피아노를 연주할 때나 답안지를 작성할 때, 악수 등 대인 관계에서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발바닥 다한증도 발이 짓무르는 경우 뿐 아니라, 신발을 벗어야 할 때 땀이 흘러내려 어려움을 겪게 된다.

겨드랑이 부위의 다한증은 땀으로 인해 속옷 뿐 아니라 겉옷까지 젖게 만든다.

다한증 증상은 어릴 때 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대게 평생 지속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일차성 다한증의 치료에는 수술, 약물요법, 이온영동법, 심리요법 등이 활용된다.

수술은 교감신경을 절제하는 방법을 쓴다.

땀샘의 분비를 자극하는 교감신경을 절제해 땀을 나지 않게 하는 원리이다.

수술은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신체적 부담이 있고 수술 후에 다른 부위에 보상적으로 땀이 나는(보상성 다한증)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약물 요법에는 땀이 나는 부위에 약을 발라 땀샘을 기계적으로 막는 방법과 땀샘의 분비를 자극하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보톡스 주사법이 있다.

이 방법은 약을 계속 발라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이 비싼(보톡스) 단점이 있다.

최근에 개발된 이온영동치료법이 있다.

이는 전기와 수돗물을 이용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원리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수돗물 속의 염소 이온 등이 땀샘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온영동치료법은 수술이 비교적 어려운 발바닥 다한증, 보상성 다한증의 염려로 수술을 꺼리는 경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 추천할 만하다.

수술보다 비용이 싸고 부작용이 없는 것도 장점이다.

이 방법은 최소 3회 이상 시술을 받아야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보통 10회 정도의 시술을 받는게 좋다.

증상이 심한 여름철에 한시적으로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김교영기자 도움말:김근 대구의료원 흉부외과 과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