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버스파업...6·5 보선 쟁점으로 떠올라

일주일을 넘겨 장기화되고 있는 대구시내버스 파업사태가 4일 앞으로 다가온 6.5 재보선의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열린우리당 대구시당은 1일 오전 대구시청에 항의방문단을 파견했다. 대구시로부터 버스 파업사태에 대한 현황및 대책을 보고받기도 했으나 이날 방문의 주된 목적은 대구시가 사태를 이처럼 악화시킨 책임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나라당도 버스 파업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대구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자칫 한나라당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져 6.5 재보선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 1일 오후 국회의원들과 대구시장의 긴급 면담을 마련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열린우리당=버스 파업사태로 인한 시민들의 불만이 폭발 직전이라는 점을 5일 치러지는 구청장 보궐선거전에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열린우리당 방문단은 이날 대구시장과 구청장.군수 그리고 시의회가 한나라당 일색으로 돼 있어 결과적으로 비판과 견제 기능을 마비시켜버렸다고 주장했다. 여야의 공존으로 감시와 견제의 기능이 살아있었다면 시정에 대한 잘잘못을 가릴 수 있었을 것이고 버스 파업사태의 장기화도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파업사태 사전방지 실패 및 파업 조기수습을 위해 대구시 등이 모든 역량을 동원하지 않았다는 점과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한 안이한 교통정책이 이번 사태를 악화시키고 장기화시켰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방문단은 또한 일부에서 제기된 파업사태 동원 공무원에 대한 일수당 4만5천원 지급설과 관련, 대구시측의 납득할 만한 해명을 요구했다. 이 자리에서 방문단은 대구시가 버스사업조합의 소극적 협상태도에 대한 설득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점도 비판했다.

◇한나라당=시내버스 파업사태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신중론을 견지하며 입장 표명을 유보하고 있던 한나라당은 시민들의 비난여론에다 열린우리당과 일부 무소속 후보들이 한나라당 책임론을 제기하고 이것이 6.5 재보선 이슈가 될 조짐을 보이자 1일에서야 국회의원들과 대구시장의 면담을 주선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이같은 한나라당의 움직임은 정치권 일각에서 한나라당의 신중론 내지 불개입론이 "같은 당 소속 시장을 한나라당에서 너무 감싸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 여론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대구시당은 이에 앞서 지난 31일 오후 성명을 내고 "파업사태의 실마리가 풀리지 않고 있음에도 대구시와 노조, 사용자측은 자기 반성없이 집단이기로만 일관하고 시민 불편은 나몰라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시당은 이어 "이번 파업의 중심 이슈였던 '준공영제' 도입과 관련해 대구지역 한나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국회제출 예정인 '대중교통육성법'의 조속한 입법을 추진하는 등 법적,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히고 파업철회를 촉구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