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철 통과방식 무엇이 최선인가-(2)10년 넘은 논쟁 언제까지

'지하화에서 지상화로, 그리고 다시 지하화, 또 다시 지상화?'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국책사업'으로 시작했다가 '단군 이후 최대의 골칫거리'라는 오명을 듣기도 했던 고속철도사업은 지난 1987년 노태우 전 대통령의 선거공약 이후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하지만 대구도 대구 도심의 통과방식을 둘러싼 갈등 때문에 엄청난 홍역을 치렀다.

또 이 때문에 지역사회의 에너지 소모도 적잖았다.

처음에는 모두 일제히 '지상화'를 반대했다.

'지하화'만이 대구발전을 기약하는 것인 줄 알았다.

이에 따라 '지하화'와 다른 주장과 논리는 무조건 배제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결국 대구는 아직까지도 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1992년 고속철도의 대구 도심 통과구간을 지하화하기로 했다가 이듬해 '경부선과 병행하는 지상화'로 바꿨으나 정치권과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이를 다시 번복, '지하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IMF경제난 이후 재원조달 문제 등으로 '지상화'와 '도심 우회안' ' 반지하화'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면서 대구의 도심 통과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재연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2001년 교통개발연구원의 용역을 통해 도심 통과방식에 대한 최종 결론을 내리기로 했는데, 교통개발연구원은 지난해 대구에서 토론회와 공청회를 잇따라 개최하고 마지막 작업을 마무리 지었다.

또 대구시는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북 칠곡군 지천면~동대구역~경산시에 이르는 29㎞의 '직선 지하화' 방안을 선택, 지난해 7월 건설교통부에 대구시의 의견으로 제출하면서 무려 10여년에 걸친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도심통과 방식을 둘러싼 논쟁이 한창일 때 대구시의 도시건설국장을 지냈던 김영창 종합건설본부장은 "당시 지역 사회와 정치권의 분위기는 도심 발전을 가로막는다는 등의 이유로 지상화안보다 지하화안을 선호했다"고 회상했다.

▨지하화 검토방안들

대구의 도심 통과 방안들은 다양하게 제시됐다.

'직선 지하화'를 비롯 △기존의 경부선과 함께 하는 국철병행 지상화 △도심 우회 노선 △도심 일부 구간을 지하화하는 국철 병행 개착식 지하박스 5.8㎞ △국철 병행 개착식 지하박스 3.2㎞ △국철 병행 개착식 지하박스 3.2㎞+α△고가교량화 △대구 북부 통과노선(Skip & Stop방식) △화물우회노선 등이 거론됐다.

개착식 지하박스는 철길을 지하에 가설한 뒤 철길위를 덮어 박스처럼 터널 형식으로 만드는 것.

교통개발연구원은 이같은 방안들 가운데 주로 '직선 지하화' 등 5가지 방안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한 뒤 계층화 분석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과 상대적 경제성 평가방법 등을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

▲직선 지하화

연구원은 이 방안이 도심 통과 거리가 29㎞로 가장 짧고 통과시간도 10분40초에 불과했으나 공사비가 1조8천473억원으로 5개 방안 가운데 가장 비싼 데다 도심을 지하 40m로 통과하는 것도 흠으로 지적했다.

공사기간은 8년5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철 병행 지상화

총 연장이 34㎞에 이르나 공사비와 공사기간은 1조1천276억원과 7년10개월로 '직선 지하화'보다 유리했다.

하지만 통과시간이 다소 길어지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 국철 병행 개착식 박스 5.8㎞

대구 서구 평리동~동구 신암동 구간(5.8㎞)은 국철과 함께 지하 개착식 박스로 고속철 선로를 건설하고 그 외 구간은 국철 병행 지상노선을 이용하는 것. 이는 신천 통과시 하천바닥(河床)이 상승하면서 홍수와 같은 갑작스런 자연재해 때 피해 등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철 병행 박스 3.2㎞

대구 도심구간인 서구 평리동~중구 태평동 사이의 3.2km구간에 대해 고속철도를 기존 경부선과 함께 개착식박스에 건설하는 것. 이는 박스 5.8㎞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대구역 정거장의 4.2m 지하화가 불가피하고 대구역을 지나는 대구지하철 1호선에도 문제가 생기는 등 단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철 병행 박스 3.2㎞+α

공사비가 1조9천847억원으로 5개 방안 중 자금이 가장 많이 드는 등 문제를 드러냈다.

대구시는 이같은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근거해 '직선 지하화'를 최적의 방안으로 선택, 지난해 7월 건설교통부에 대구시의 공식입장으로 전달하고 10년이 넘은 논쟁에 결론을 지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