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주한 미군을 서울 이남 기지로 재배치하는
계획을 두고 협의를 진행중인 가운데 오는 10월말까지 판문점으로부터 거의 모든 미
군을 철수하는 작업이 궤도에 올랐다고 한 미군 장교가 9일 밝혔다.
현재 판문점에는 미군과 한국군이 순찰업무를 맡고 있는데 미군의 판문점 철수
가 완료되면 한국군이 업무 등을 모두 떠맡게 된다.
판문점에 주둔하고 있는 미 육군 대대 소속 라이언 로버츠 대위는 또 판문점내
어떤 건물들을 한국군에게 먼저 넘기느냐 등을 협의하는 등 양측의 인수인계작업이
원만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군측은 판문점에 근무하는 한국군에게 한국 총기 및 군장비의 사용
법을 가르치고 있다며 판문점 미군부대에 소속된 한국군들은 주로 미군장비를 사용
해왔다고 덧붙였다.
이 곳의 미군 캠프 보니파스와 캠프 리버티 벨에 대해 로버트 대위는 "이들 캠
프는 모두 한국군에 소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판문점에는 현재 550명 정도의 한.미 양국 군인들이 근무중이다. 현재 한국군이
65%를 차지하고 있으나 10월 31일 인계작업이 완료되면 한국군 비율은 93%로 올라가
게 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판문점 미군철수 문제는 서울이남 기지로 미군을 통합하려는 계획의 일환이다.
주한미군 재배치 및 통합계획은 아직 양국간 결론을 보지 못한 사안이다. 지난
8일 이 계획에 대한 양측 협의에서는 새 기지면적에 대해 합의를 못봤다. 미국측은
한국측이 제공하려는 면적보다 120 헥타르 정도 넓은 1천166 헥타르를 요구했기 때
문이다.
미국 협상단을 이끈 리처드 롤리스 국방부 아태담당 부차관보는 한국의 한 일간
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작은 차이가 논쟁의 핵심이 됐다는 데 대해 "좌절했다"고 말
한 것으로 인용됐다.
김숙 외교부 북미국장은 이달말 또는 7월초 이 문제와 관련해 미국측과 후속회
담을 갖기를 희망한다고 밝히고 한국은 올해말까지 합의를 이뤄냈으면 한다고 덧붙
였다.
한편, 주한미군의 서울이남 기지 통합문제와 아울러, 한미양국은 또 30년만에
가장 큰 규모가 될 수 있는 미국의 주한미군철수안을 두고서도 더 많은 협상을 앞두
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