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청도 대구 통합 공기업 유치와 연계

정치권 일각에서 경북 경산.청도의 대구 통합 문제를 참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사업과 연계시켜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돼 주목된다.

경산.청도 인접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9일 열린 간담회에서 이한구(李漢久.수성갑) 의원이 통합의 당위성을 제기하면서 "공공기관 및 대기업 이전을 위해 경산보다 좋은 적지가 없다"며 연계 추진 가능성을 시사하고 나선 것.

이 의원은 간담회에서 "경산은 저렴한 부지비와 기업환경을 갖고 있는 등 공기업을 유치하는데 대구보다 훨씬 좋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며 "대구는 잦은 노사분규 및 높은 인건비.물류비 등으로 기업을 유치하는데 동기부여가 안되기 때문에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최근 일부 대기업 CEO 및 공기업 관계자들과도 접촉해 이 같은 이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해 공기업 이전 및 일부 대기업의 경산유치 활동을 이미 전개하고 있음을 암시했다.

그러나 그는 "대구시가 기업 유치를 위해 명확한 이점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 만큼 접촉하고 있는 기업들의 명단을 밝히지는 않겠다"며 선 대구-경산 통합문제 해결 후 기업 명단 공개의 원칙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대구-경산 통합의 당위성에 대해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최경환(崔炅煥.경산 청도) 의원은 "현재 대구의 영역으로는 대구경제의 숨통을 틔게 하지 못할 것"이라며 "경산.청도 주민들 외에 대구에서도 강력히 통합을 희망하고 있는 만큼 반드시 성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청도는 정치적 필요에 의해 통합을 주장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경산이 산업화 되면 청도는 관광 및 휴식의 공간으로 개발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대구의 허파 구실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주성영(朱盛英.동갑) 의원은 "현재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8도에 근거를 둔 구시대적 경계"라며 "행정적 구분에 얽매이지 말고 경제학적 측면에서 시도 경계선을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통합주장에 가세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사진: 대구시와 경산.청도의 통합 논의를 위해 최경환의원과 이한구, 주성영 의원등이 9일 오찬 모임을 갖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