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매곡정수장과 두류정수장을 포함한 부산 경남 등 낙동강 수계 11곳의 정수장에서 발암물질인 1,4-다이옥산이 검출됐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충격적인 것은 이 같은 사실이 수년동안 감춰져 오다 뒤늦게 밝혀졌다는 점이다.
환경부와 대구시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국립환경연구원의 조사 결과 지난 2001년 4/4분기 매곡정수장과 두류정수장에서 1,4-다이옥산이 각각 173.7ppb, 217.6ppb 검출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수치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치 50ppb를 최고 4배이상 넘는 것이다.
1,4-다이옥산은 국제암연구센터(IARC)에서 발암물질로 분류돼 있고, WHO는 이 물질이 포함된 물을 70년간 매일 2ℓ씩 마실 경우 100만명당 1명꼴로 암에 걸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같은 발암물질이 수돗물에서 검출된지 4년째된 이제서야 알려지고 확인됐다는 것은 당국의 무책임과 무사안일이 정도를 넘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이같은 사실을 감춰두고, 먹는 물 수질 검사항목이나 감시항목에 포함 시키려는 노력도 하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1,4-다이옥산이 기존의 법정항목이 아니더라도 권고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됐다면 신속히 사실을 공개하고 오염원 차단에 나섰어야 했다.
올들어 일부 언론에서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를 하자 뒤늦게 사실을 시인하고 '경미하다'는 등 변명으로 일관하는 당국의 자세는 분명 잘못된 것이다.
대구시는 배출업소 관리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는데 그동안 시민의 물,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일을 소홀히 한 책임을 면할 수 없다.
대구의 정수장 수질을 검사하는데 대구시가 몰랐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당초 환경부가 사실을 감추거나 가벼이 여겼더라도 대구시는 이 수돗물을 마시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사실을 공개하고 시민과 더불어 대책을 궁리했어야 했다.
1991년 발생한 페놀사태의 교훈이나 최신 정수시설이 무색할 지경이다.
안일한 환경정책, 이런 시정을 믿고 시민들이 안심하고 살 수가 있겠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