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태풍 매미의 피해를 입은 신천의 수해 복구 공사가 또다른 '환경 파괴'라는 논란을 빚고 있다.
친환경적인 자연 하천으로 복구하겠다는 대구시의 발표와는 달리 콘크리트로 제방을 만들고 하천 바닥을 깎아 수중 생태계를 오히려 훼손하는 것은 물론 집중호우때 또다른 재난을 불러올 우려가 높다며 환경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
대구.경북 녹색연합, 영남자연생태보존회, 경실련, 흥사단, 환경운동연합 등 대구의 시민단체들은 14일 낮 간담회를 갖고, "신천 수해복구 공사가 기존의 자연환경까지 파헤치는 또 다른 환경 파괴가 되고 있다"며 "실태조사 및 공사비 집행 관련 정보공개청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의 주장처럼 14일 오후 취재진이 찾아간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오리 등 신천의 상류 지역은 포크레인과 인부등을 동원한 콘크리트 제방 건설과 하천 바닥의 평탄작업이 한창이었다.
태풍 '매미'때 깎여나간 하천의 경사면 곳곳은 콘크리트 제방으로 바뀌었고, 자연석을 들어낸 강 바닥은 마치 '대형 수로'처럼 평평하게 꾸며져 있었다. 희망교, 중동교 등 신천의 중.하류 호안도 군데군데 돌과 콘크리트 벽으로 변해 있었다.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류승원 박사는 "물고기 등이 서식하는 강 바닥의 '물길 지표층'을 도려내고 평탄하게 만들어 신천 상류의 수중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면서 "특히 강 바닥이 이처럼 평평하게 깎이면 폭우때 강물이 흐르는 속도가 전혀 줄여지지 않아 하류까지 충격이 미칠 것"이라고 했다.
대구.경북 녹색연합 이재혁 사무국장도 "사전 환경성 평가 등 친환경적인 고려 없이 단기간내 공사를 끝내려고 서두른 것 같다"며 "전국 하천네트워크와 연대해 다른 지역의 수해복구현장에 대한 실사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 시설안전관리사업소측은 "태풍 매미때 크게 침식된 지점들만 콘크리트 제방을 쌓았으며,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 대신 돌붙임으로 호안을 조성하는 등 친 환경성 문제를 충분히 고려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구시는 신천의 수해 복구를 올 상반기내에 완료하기로 하고 지난 1월부터 1공구(가창교~상동교), 2공구(상동교~희망교), 3공구(희망교~금호강 합류점)로 나눠 공사를 벌이고 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