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의원들이 당직보다는 국회직을 선호하는 '기현상'이 일고 있다.
예전 같으면 당 3역을 포함해 시.도당위원장 자리다툼이 치열했으나 최근에는 상임위원장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
이유는 한나라당 내 반(反) 영남정서 및 까다로워진 정치자금법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른바 반 영남정서는 지역의원들이 주요 당직에 설 여지를 좀체 주지 않고 있다.
지역 의원들은 섭섭함을 감추지 않으면서도 반 영남정서의 모순을 반박하지 않은 채 당직에서 한발 물러선 형편이다.
개정된 정치자금법도 당직을 기피하는 이유 중의 하나. 시.도당위원장의 경우 지난 16대는 후원금을 거둘 수 있어 기업의 뭉칫돈을 만지기도 했지만 17대부터는 금품 모금 활동이 사실상 금지돼 시.도당 운영비와 유급직원의 인건비 충당마저 어려운 실정이다.
한나라당의 경우 전국 시.도당에 내려가는 금액은 국고보조금의 10분의 1 선. 매년 국고보조비가 110억원 가량돼 11억원이 시.도당 몫이다.
이를 16개 시도로 나누고 월별로 다시 나누면 매월 시.도당에 내려가는 돈은 600여만원에 불과하다.
시도당의 유급직원이 5명 안팎인데 600여만원으로는 이들의 월급도 충당하지 못할 형편.
실제로 대구.경북의 경우 '자격'있는 3선급 이상 중진 의원들은 모두 시.도당 위원장 자리에는 손사래를 친다.
메리트는 하나도 없고 희생만 하는 자리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득(李相得) 경북도당위원장은 차기 위원장과 관련, "이번 주내로 경북 의원들간에 최종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교통정리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으나 차기 도당위원장 후보인 김광원(金光元).임인배(林仁培) 의원은 상임위원장을 희망하며 고개를 내젓고 있다.
두 의원은 "상임위원장을 놓고 의총에서 경선하는 상황까지 생각하고 있다"며 각각 이 위원장이 자신에게 양보하라고 교통정리할 경우 불복할 뜻을 보였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