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무역 직원 김선일(33)씨 피랍을 계기로
이라크내 납치 단체의 성격과 이념, 조직규모 등에 관해 온갖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알-자지라 방송에 테이프를 보내 김씨를 납치했다고 주장한 '알 타우히드 왈 지
하드(유일신과 성전)'는 요르단 태생의 아부 무사브 알-자르카위가 이끄는 무장저항
단체로 알려져 있다.
자르카위는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라덴을 대신해 이라크에서 반미공격을
지도하고, 2002년 요르단에서 미국 외교관 로런스 폴리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있다.
지난 5월 17일 이즈딘 살림 이라크 과도통치위원장이 살해된 뒤에도 자르카위
휘하 단체가 책임을 주장한 바 있다.
반면 지난 4월 일본인 3명을 억류했다가 풀어준 단체는 '무자헤딘 여단'이라는
무장조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5월 사담 후세인 정권이 붕괴된뒤 이라크 각지에서는 이같은 중소 규모
의 자생 무장단체들과 외부에서 유입된 비교적 조직화된 무장단체들이 난립하고 있
다.
미국은 후세인 정권 붕괴후 발생한 대부분의 테러공격을 알-카에다와 안사르 알
-이슬람 등 국제화된 테러단체들의 소행으로 돌렸다.
최근 이라크 저항운동 사이트에 공개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이라크에서 활
동중인 저항운동 조직은 55개에 이른다.
이들은 지난해 5월 1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이라크 주요전투 종료를 선언
한 뒤 생겨난 단체들로, 수니 무슬림이 주축을 이룬다. 이 중에는 지하드(聖戰)를
표방하는 단체들도 상당수에 달하며, 단순히 자신들의 사회를 지키기 위해 총을 든
민간 조직들도 있다. 또 혼란기간을 틈타 강절도를 일삼는 폭력단체들도 난립하고
있다.
그동안 언론에 자주 이름이 오르내린 안사르 알-이슬람은 자취를 거의 감춘 것
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단체는 지난해 4월 미군의 집중 공격을 받고 상당한 전력
손실을 입었다. 잔병들은 이란으로 피신했으며 대부분이 해산됐다.
이와 함께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수니파 조직 '알-지하드 사라야'는 팔루자를
거점으로 활동하며 이라크과도통치위 요인들의 암살을 공언한 바 있다.
'이라크 저항.해방을 위한 총사령부'는 타하 야신 라마단 전부통령 휘하 조직으
로 지난해 5월 말 조직됐으며 팔루자 주변에서 저항공격을 벌였다.
'알-카에다 무장이슬람그룹 팔루자 지부'는 지난해 7월 외국계 전사들을 주축으
로 결성됐으며 아프간 해방전쟁에 참전했던 아부 아야드가 지휘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7월 알-자지라 방송을 통해 이라크에서 벌어지는 모든 저항공격이 자신들과
연관돼 있다고 주장했다.
'예루살렘 대대'는 2000년 9월 팔레스타인 인티파다 이후 수니 무슬림과 후세인
추종자들이 결성했다. 그 지도자인 소브히 카말은 지난 해 미군에 체포됐으나 조직
은 여전히 저항공격에 가담하고 있다.
'알-마디나 알-무나와라 사단'은 공화국수비대 등 후세인 정권을 지탱했던 주력
부대가 주축이 돼 조직했으며 바그다드와 팔루자가 활동 거점이다.
이라크공산당은 구(舊)이라크공산당에서 이탈한 조직으로 반제국주의, 반식민주
의, 반시오니즘을 표방하는 좌파 단체다. 구 공산당이 이라크과도통치위원회에 참여
키로 결정한데 반발, 분리를 선언했다.
이라크해방군은 지난해 6월 등장한 조직으로 외국 군대의 이라크 파병에 반대하
며 이라크에 배치되는 모든 외국군대를 공격 목표로 선언한 바 있다. 이밖에 유사한
이름과 성격의 무장단체들이 난립해 있으나 정확한 규모와 실체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2월 후세인 전대통령이 체포된 뒤로는 강경 시아파 지도자
무크타다 알-사드르가 이끄는 마흐디 군대와 같은 민병조직이 반미 저항운동을 주도
해왔다고 말한다. 이밖에 알-카에다 연계 조직이나 이를 자처하는 무명의 단체들이
남아있고, 나머지 상당수는 폭력조직들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있다. (카이로=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