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디어 엿보기-"드라마 속 간접광고 지나치다"

지난 29일 종영한 MBC 드라마 '불새'에서 주인공 세훈(이서진)이 다니는 회사 이름은 '제이리버'(Jriver). 드라마의 협찬사인 MP3플레이어업체 아이리버에서 한 글자만 살짝 바꾼 것이다.

요즘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는 SBS '파리의 연인'에서 기주(박신양)는 'GD 자동차' 사장으로 나온다.

'GD자동차'에서 GM대우를 연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태영(김정은)이 옮기게 될 직장인 멀티플렉스 'CJB'도 역시 CGV와 발음이 유사하다.

MBC '황태자의 첫 사랑'은 외국계 리조트그룹인 '클럽메드'의 20부짜리 '영상 홍보물'에 가깝다.

주인공들의 직업이 아예 클럽메드에서 도우미를 가리키는 'G. O'이고 사호로, 발리, 타히티 등 클럽메드 휴양지를 돌며 촬영했다.

최근 PPL로 불리는 드라마 속 간접광고가 도를 넘고 있다.

간접광고는 드라마 속에 특정 상품이나 로고 등을 등장시켜 시청자들에게 제품 이미지를 홍보하는 수단. 이제는 의상 등 단순 소품을 넘어 특정 기업이 주 무대가 되거나 특정 상품이 극을 이끄는 핵심 소품으로까지 등장하는 형편이다.

이처럼 간접광고가 홍수를 이루자 방송위원회는 간접광고의 규제를 강화하는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내놓았다.

9월 초 시행 예정인 개정안에 따르면 제작비를 제공한 협찬주에게 광고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특정 상품명 혹은 상표, 로고 디자인을 일부 변경해 사용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방송위의 규제 방침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속 간접광고는 더욱 기승을 부릴 전망이다.

방송계는 지금의 제작관행으로는 간접 광고 없이 프로그램의 제작비를 도저히 맞출 수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드라마 회 당 제작비가 6천500~8천500만원 가량인 데 비해 실제 회당 제작비는 1억원을 훌쩍 넘어선다.

따라서 5억~6억원 정도를 기업의 간접광고로 충당하지 않고서는 제작 자체가 힘들어진다는 것. 따라서 규제 강화에 앞서 제작비 현실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장성현기자 jacksoul@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