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적자지하철 구조조정안 승인

만성적인 적자 구조를 조금이나마 줄이겠다며 대구지하철공사가 내놓은 구조조정 방안을 대구시가 5일 승인했다.

그러나 대구지하철노조는 구조조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 오는 20일을 전후해 총파업에 나설 것으로 보여 시내버스 전면 파업에 이어 시민들의 또다른 불편이 우려된다.

대구와 서울, 부산, 인천 등 5개 지하철노조는 2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서를 내고 5일부터 3일간의 찬반투표에서 파업이 결정되면 이에 돌입키로 했다.

지하철노조는 당초 17일쯤 파업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는데 중노위에서 각 지하철공사가 소속된 지방노동위원회로 신청서를 내려보낼 방침이어서 파업 시기는 20일쯤으로 다소 늦춰질 전망이다.

지하철노조는 노동위원회의 조정기간 중 건교부, 기획예산처 등 정부와 직접 교섭을 갖고 △노동조건 저하없는 주5일 근무제 실시 △인력충원 및 비정규직 철폐 등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대구지하철노조는 주5일 근무제 실시와 관련해 노동시간 단축, 지하철 1호선 현장 인력의 현원 유지, 2호선 운영 정원 1천61명 확보 등을 요구하는 한편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따른 지하철 역사의 민간위탁과 외주 용역 등의 구조 조정도 금지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는 지하철공사가 제출한 구조조정 방안이 노사의 협의사항일 뿐 합의사항이 아닌 점을 들어 5일 이를 승인하고 곧바로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지하철공사의 구조조정을 놓고 노사의 갈등이 더욱 심화돼 노사 합의를 통한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대구지하철노조는 지난 1일 부산에서 부산지하철, 부산철도본부 등 1천여명의 조합원이 참가한 가운데 영남권 결의대회를 가진 바 있다.

한편 대구에서는 대구지하철노조외 염색공단 및 섬유개발연구원 노조, 환경관리노조도 잇따라 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7월이 노동계 하투의 고비가 될 전망이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