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드러난 중소기업의 실상은 우리경제의 '미래'와 '역동성'을 가늠케 한다.
경제의 말초신경인 중소기업이 빈곤의 늪에서 허덕이고있고 제도권의 지원에서조차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지금의 경기 불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렇게 기업하기가 어렵다면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말뿐이 아닌가. 국내 기업 마인드가 땅에 떨어져있는데 무슨 수로 해외자본을 끌어들이고 내적 충실화를 도모한단 말인가. 소위 정보화'지식화 산업이 성숙되고 있다.
중소기업을 대하는 정부의 시각과 정책에도 '대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정부의 실태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17.5%가 이자 또는 원금을 연체, 신용불량의 불씨를 안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0%는 지난 2년 동안 재무구조가 악화됐으며, 71%는 담보 여력이 없어 사장이나 임원 개인 자격으로 대출받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고질적 병폐인 '영세성'과 '가족경영'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정부의 신용대출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금융기관에서 신용으로 돈을 빌려 쓰는 기업은 14%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니 제도권에서 얼마나 소외 당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중소기업은 기술개발과 혁신의 산실이다.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이 아닌가. 지방의 경우 중소기업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마당에 이들의 실태가 이 정도라면 지역균형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지역의 청년실업률이 높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아무리 지역별로 전략산업을 선정하고, 미래형 혁신도시를 만들고 지역 특구를 조성해봐야 지역의 중소기업이 활력을 잃고있으면 정책은 실패한다.
지역혁신을 위해서라도 정부는 중소기업부터 챙겨야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