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大邱 'R&D특구' 성공적 추진을

대구를 R&D(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색 없는 도시' 대구의 미래산업으로 R&D분야가 부각되는 것은 크게 환영할 일이다.

섬유.건설 등 전통산업이 무너지면서 대구의 10년후, 20년후를 책임질 신(新)산업을 일으켜야한다는 당위성은 누구나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렇다할 트레이드 마크를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시점에서 R&D특구 지정 움직임은 지역민에게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온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 소속 한나라당 강재섭(姜在涉) 서상기(徐相箕) 의원 등은 최근 "대덕에 지정하려는 R&D특구가 대구, 광주로 확대 지정되도록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즉 현재 과기부가 추진 중인 '대덕연구개발특구 특별법'을 일반법인 '연구개발특구법'으로 바꿔, 대전은 물론 대구, 광주 등 3개 도시를 R&D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대구 경제활성화라는 지엽적인 이해관계를 떠나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너무나 바람직한 발상이다.

여태까지 R&D는 수도권과 대덕단지에 집중돼있었다.

이러한 국토 중부권 일극(一極)체제로 인해 국토 동남권과 서남권은 연구개발분야에서 소외되기 일쑤였다.

세계화.정보화 시대, 첨단지식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인데도 연구개발 인프라조차 없는 지방에다 스스로 '지역혁신'을 하라고 요구하고 있으니 앞뒤가 맞지 않는 발상이다.

더구나 대구는 지금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및 대구테크노폴리스 조성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R&D특구로 지정된다면 이미 절반은 성공한 셈이다.

이제 특구 지정의 당위성과 필요성은 명백해졌다.

이를 성사시키기 위한 성공적 '방법론'을 차분히 강구해야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