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6일에 이어 근 한달만에 또다시 국방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공군대학, 원자력연구소 등 10개 국가기관의 수백대 컴퓨터가 해킹당한 것은 우리의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민간인들로 보이는 해커들이 주로 우리나라를 경유지로 해킹한 사건이 종종 있었지만 이번처럼 최소한 '일정한 조직'으로 구성된 해커들이 주로 국방관련 기관들을 주 대상으로 삼았다는 건 '국가안보 기밀'을 노린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는 이번 기회에 국방차원의 보안대책을 서둘러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할것이다.
또 원자력연구소의 기밀이나 민간 첨단기술이 해킹에 의해 유출된다면 국가경쟁력마저 심각한 위협을 받는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을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문제는 해킹을 당한 사실 자체도 뒤늦게 안데다 지금까지도 무슨 정보가 어느 정도 유출된건지 파악조차 안됐다는건 그만큼 정부차원의 사이버 보안이 허술했음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다.
결국 '인터넷 강국'이란 닉네임은 허울뿐이었음을 유념, 지능적인 해킹에 대응할 수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집중투자가 절실함을 이번 사건은 우리에게 깨우쳐 준 것이라 할 수있다.
중국이 발신지(또는 경유지)인 데다 한국어에 능통한 해커가 개입됐고 주로 '국방관련 기관들'을 해킹한 건 '북한의 소행'일 수도 있음을 시사해주는 대목이다.
현대의 첩보전은 사이버전으로 가늠한다는 사실까지 감안, 특단의 사이버 국방대책이 절실하다.
따라서 우선 고도의 보안요원들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거국적인 대책도 강구돼야 한다.
미국 국방부가 이런 해킹에 대비, '극비정보'는 아예 육필(肉筆) 문서로 보관하고 있다는 시실은 우리에겐 타산지석(他山之石)이 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