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상만)잔나비 잔치와 오페라 축제

'억지 춘향'이란 속담이 있다.

우리 대구의 축제를 보면 자꾸만 이 속담이 생각난다.

축제라면 당연히 잔치여야 할게다.

그 집단의 구성원 하나하나가 모두 주인이 되어 넘치는 흥과 신명으로 한판 흐드러지게 어울려 노는 큰 잔치 말이다.

헌데 대구의 축제는 늘 요란한 구호와 명분만 넘칠 뿐 신명이라고는 느낄 수 없는 공허한 잔치였다.

소문난 잔치라서 먹을 게 없는 탓일까?

그래서인지 올해부터 큰 예산을 들여 국제적으로 자랑을 할 수 있는 아주 큰 규모의 새로운 축제를 서둘러 시작 한단다.

'국제적' 이라는 말이 특별하게 강조되는, 우리의 흥과 신명보다는 국제적이란 말이 훨씬 더 중요한, 그런 화려한 대규모의 축제를 말이다

'잔나비 잔치'라는 속담도 있다.

우리 대구시가 새로 기획하고 있는 축제를 보며 자꾸만 이 속담이 생각이 난다.

우리의 귀한 세금을 12억원이 넘게 쏟아 부어 새로 준비하는 큰 잔치가 그 모습을 드러내면 낼수록 점점 더 우리의 삶과는 동떨어진 남의 잔치의 모습을 띠게 되어 참 안타깝고 걱정스럽다.

오페라 축제라니….

우리의 삶과 정서 속에 오페라가 과연 어떤 의미로 자리하고 있기에 이것이 우리의 잔치가 될 수 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올해 우린 대구시의 문화 관련 예산 전체 300여억원중 10%가 넘는 30여억원을 오페라에 관련하여 쏟아 붓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문화 관련예산이란 음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과 미술, 연극, 무용등 문화와 예술 모든 분야를 망라한 총 예산을 말한다.

우리들의 삶 속에서 흥과 신명을 일깨워 우리 모두가 살맛을 느끼게 하는 그런 잔치라면야 몰아주기가 아니라 아예 통째로 다 주어도 좋다.

하지만 이것이 남의 고전을 흉내내기에 몰두하는 것이라면, 그리하여 우리가 문화적 잔나비가 되어가는 일에 스스로 우리의 세금을 쏟아 붓고 있는 것이라면 이는 정말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린 지금 스스로 서양문화를 흉내내기에 급급한 문화적 잔나비가 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두 눈 똑바로 뜨고 철저하게 되짚어 볼 때다.

이상만 작곡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