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U자형 개발 헛구호

동해안 전국 최악의 오지로

경북 동해안이 전국 최악의 '교통 오지'로 전락, 관광개발 등 각종 개발계획이 좌초하고 있다.

정부가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한 'U자형 국토개발 계획'이 동해안은 소외시킨 채 서.남해안에만 집중 투자하는 바람에 'L자형'에 머물면서 이 지역의 도로.항만.철도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이 지지부진한 때문이다.

대표적 '소외 사례'는 동해안 간선망인 국도 7호선 확장공사. 지난 1989년 착공한 이 도로는 총연장이 137.3km에 불과하지만 15년이 지난 현재까지 종합 공사진척률은 63%에 불과하다.

반면 총연장 353km의 서해안고속도로는 지난 1990년 12월 착공해 만 11년 만인 2001년 12월 완공됐다.

국도 7호선 확장공사 예산은 1조1천191억원이나 45%에 해당하는 5천106억원이 2004년 이후 집행될 계획이어서 당초 예정인 2008년 개통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북도와 동해안 시.군들은 동해안 교통체증 해소와 금강산 육로관광 등에 대비해 조기 완공을 희망하고 있지만 정부는 묵묵부답이다.

주민 박인식(49.영덕군 영해면 벌영리)씨는 "동해안 7번 국도처럼 질질 끄는 공사현장은 볼 수 없다"면서 "다른 지역은 고속도로 건설까지 하면서 국도확장 공사조차 늑장을 부릴 수 있느냐"고 불평했다.

동북아 경제권 형성 및 대북방 교역을 위한 전략적 거점항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영일만 신항 공사도 정부의 우선 투자대상에서 밀려나 당초 계획보다 규모가 축소됐다.

영일만 신항은 지난 1998년 10월 당초 '중점투자 대상항'에서 '지속투자 대상항'으로 바뀌면서 접안시설도 2001년 24선석 규모에서 16선석으로 축소됐다.

게다가 지난해 10월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부산과 인천에 빼앗기면서 영일만 신항은 정부의 관심권에서 더 멀어진 상황이다.

남북 통일을 앞두고 영일만 신항, 북한의 원산항 등과 연결되는 동해안 철도 수송체계를 갖추기 위해 수립된 포항~삼척간 동해중부선 철도 부설사업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포항~삼척(171km)을 잇는 이 사업은 오는 2014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며, 총사업비 2조4천410억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국가사업이다.

올해까지 338억원을 확보해 기본 설계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지만 내년 실시설계에 필요한 예산 175억원 지원 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역의 주요 SOC 사업들이 말만 무성할 뿐 전혀 진척되지 않다보니 주민 불만이 팽배하고, 정부에 대한 불신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윤채.임성남.이상원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