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해 경각심 유물로 일깨우자"

태풍 '루사'와 '매미'는 한때 무뎌졌던 풍수해에 대한 경각심을 새롭게 일깨웠다. 엄청난 상처를 입은 끝에 얻은 교훈이었기에 이즈음에 꼭 한번 되새겨 볼 선조들의 유산이 있다.

안동대학교 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호방사적비(湖防事蹟碑). 정유(1777년) 대홍수때 유실된 제방, 포항제(浦項堤)와 송제(松堤)를 이듬해에 새로 쌓은 이력을 담아 경자년(1780년)에 세운 것이다. 이 제방은 현재 안동시 법흥동 안동댐 주변과 용상동 제방의 전신으로 당시 수해로 모두 유실돼 다시 쌓았고 이후 지속적으로 보완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비문에는 제방 재건에 안동읍의 장정으로도 부족하자 안동부사가 경상도관찰사에 도움을 요청해 도내 각처에서 18만여명의 인력을 동원해 각각 길이 7리(2.8㎞), 높이 3장(9m)으로 쌓았다고 기록돼 있다.

이 비는 30여년 전 안동댐 건설당시 보조댐 공사장 주변 모래사장에 묻혀 있다 발견됐는데 위치상으로 볼때 당시 포항제 주변에 세워졌고 갑술년(1934년) 혹은 을축년(1936) 수해때 유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금의 용상동제방(송제) 주변에 이 비와 같은 해인 1780년에 세운 송제사적비(松堤事蹟碑)가 그대로 남아 있는 사실에 근거해 두 제방을 다시 쌓은 뒤 각각 비를 세운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안동대학교 박물관 권두규(46) 학예사는 "비문에 적힌 제방규모는 당시로는 엄청난 인력과 자재가 소요되는 대역사로 60년 주기의 대홍수를 염두에 둔 치수(治水)였다"고 설명했다. 또 대규모 인력을 지원한 점과 비문에서 제방을 새로 쌓아 백성의 안정과 고을의 재물을 공고히 한 것을 칭송한 데서 나라에서 재해극복을 위한 협력과 그 의의를 매우 중요히 했음을 엿볼 수 있다는 것.

따라서 호방사적비를 대학 박물관이 아닌, 원래 있던 자리에 다시 세워 풍수해에 대한 경각심과 선조들의 재난극복에 대한 의지를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다만 비석의 풍화상태가 심각해 온전히 보전할 수 있는 비각을 지은 뒤 옮기거나 진품은 박물관에 보존하고 복제비석을 세우는 등 여러가지 합당한 공개전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안동'정경구기자 jkgoo@imaeil.com

사진 : 안동대 박물관에 있는 호방사적비.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