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국내 최초로 중앙일보가 NIE 코너를 마련하여 신문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소개하기 시작한 이래 신문활용교육은 언론사가 주도하고 학교 현장에서 개발.적용하는 형태로 진행돼 왔다.
학교 교사와 신문사의 기자 및 전문위원들이 연계해 NIE 지면을 공동 제작하고, 이를 통해 고안된 프로그램이 학교와 가정에 전파됐다.
이밖에 어린이신문, 문화센터, 사회교육원 등에서도 NIE 강좌가 개설됐고, 곳곳에 NIE 동호회가 결성됐다.
NIE 관련 학위논문도 한 해 수십 편씩 생산되고 있으며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런 때 중앙일보, 경향신문 등에 이어 매일신문이 NIE 고정 지면을 제작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며, 이 지면이 신문활용교육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이 고민을 토로하고 실천하는 장이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나아가 각 교과와 연계한 통합교과적 학습 효과를 내기 위해 학교 현장과 가정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초.중등 학교급별 프로그램 운용 사례집 발간이 보다 활성화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서울의 M외국어고에서는 수년 전부터 신문을 활용해 개인별, 모둠별로 가족과 함께 하는 관심일기 작성 및 평가를 수행해오고 있다.
신문에 실린 사설, 기사 등을 개인별 또는 모둠별로 선택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고, 모둠원들과 돌려보며 평가해주고, 학부모도 함께 참여시키는 등 주별.월별로 단계적인 계획을 세워 일관성 있게 추진 중이라고 한다.
이런 사례는 논술과 심층면접에 대비해 쓰는 형식, 말하는 요령과 함께 창의적인 사고를 키우는 데 매우 유용하며, 신문기사에 대해 비판적이고도 균형적인 시각과 안목, 심층적인 사고를 길러줌으로써 입시교육과 인성교육을 조화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개인별, 모둠별로 독서신문, 환경신문 또는 부모님의 직장에서 몸소 체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하는 직업체험신문 등 주제별로 직접 신문 만들기를 해 보는 것도 좋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신문활용교육에 관심을 가진 교사와 학부모는 평소 신문을 부지런히 읽으면서 그때 그때 필요하고 유용한 자료를 스크랩하고 창조적 아이디어를 생산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또 학생들의 무한한 가능성과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면서, 늘 열린 시각과 자애롭고 진지한 태도로 임해야 교육적 효과와 의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홍기(대구교육연수원 수련부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