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든 아이 얼굴에 내 얼굴 갖다대고
아이의 날숨을 들이마신다
뱉으면 마시고 들이쉬면 멈추면서 얼굴 붉어지는데
한 번 데워진 공기가 이렇게 달콤하고나
가르릉가르릉 아이는 살아 있고나 그 옆에
새우잠 자는 아내의 콧김도 씩씩하고나
방 한 칸 짊어지고 자정을 넘어가는 식구들
세상에 이만한 노동도 없고 방안에 꽉 찬
한 그릇 공기는 아무리 퍼먹어도 배고픈 공기
너 한 숟갈 떠먹이고 나 한 숟갈 떠먹다 보면
아이가 날 낳았는지 내가 아이를 낳았는지
아직 이곳에 날것의 공기가 있다
우리 식구 한통속인 이유가 있다
류길수 '한 그릇의 공기'
본 이름이 류충남인 구미 사는 시인 류길수를 작품 속에 들여놓고 이 시를 읽는다.
어린 아기와 고단한 아내 그리고 가난한 시인, 이렇게 세 식구가 일용하는 양식은 한 그릇의 공기이다.
이 양식은 삶의 원천이자 살아있음의 징후이고 성찬식의 떡처럼 그것은 나누어 먹음으로 한통속(?)이 되는 사랑의 자장(磁場)이기도 하다.
그대는 잘 알고 있지 않은가. 무릇 사랑이란 그것이 진정한 것이라면 아무리 퍼먹어도 배고픈 공기 같은 것. 길수야 너무 슬퍼 말라, 우리는 모두 이 하늘 밑에서 !
강현국(시인.대구교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