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청소년은 합병증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
인제대 의대 서울백병원 비만센터 강재헌.유선미 교수팀이 전국 14개 중학교 학생 3천61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비만 유병률과 합병증'을 조사한 결과, 비만 청소년 10명 가운데 8명이 합병증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비만 실태에 대해 전국 단위로 조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만 청소년 10명 중 8명(76.5%)이 고지혈증, 간 기능이나 혈당 이상 등의 각종 성인병 위험에 노출돼 있다.
또 비만 청소년의 질환별 위험도가 정상에 비해 최고 1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비만이 청소년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 청소년 5명 중 1명(17%)이 비만으로 나타났고, 성별로는 남학생의 비만율(22.3%)이 여학생(10.7%)의 2배를 넘었다.
비만으로 진단된 587명 중 76.5%(449명)가 간 기능 이상, 고지혈증, 고요산혈증, 고혈당 등 한가지 이상의 비만 관련 합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지닌 청소년도 36.3%(213명)에 달했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수치인 AST와 ALT의 경우 비만 학생이 정상보다 각각 10배와 13배나 높았으며, 비만군의 고지혈증 위험도는 정상에 비해 4배나 높았다.
고요산혈증 위험도 비만군에서 2배 높았고, 고혈당 위험도는 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흥미로운 사실은 학생들의 비만이 부모의 비만과 연관성이 있었는데 부모 모두가 비만인 경우 비만 위험도가 약 3배나 높았으며, 아버지(1.59배)보다는 어머니(2.21배)가 자녀의 비만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 비만은 대개 성인 비만으로 발전하기 쉬운데, 이는 취학 후 아동기와 사춘기에 신체적 급성장이 이루어지고 체지방 세포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강재헌 교수는 "10~13세에 시작된 과체중 및 비만의 80%가 성인 비만으로 이행돼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며 적극적인 치료를 당부했다.
김교영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