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철 도심통과 '시민 뜻 다시 묻는다'

8월중 심의위 구성...입장 재정리

대구시는 27일 경부고속철의 대구 도심 통과 방식을 재검토하기 위해 시의회, 시민단체, 학계 전문가 10여명으로 심의위원회를 8월중에 구성해 시민 여론조사와 설명회 등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는 이를 통해 그간의 공식입장이었던 '지하화'에 더 이상 얽매이지 않고 시민들의 뜻을 최종적으로 수렴.반영해 '지상.지하화' 문제에 대한 대구시의 공식 입장을 재정리, 건설교통부에 통보할 계획이다.

이는 경부선 철길 주변의 일부 주민들이 고속철 지상화를 요구하는 청원을 대구시의회에 처음으로 제출했으나 시의회의 소극적인 처리로 지난 22일 반려되자 이를 대구시에다 다시 접수시킨데 따른 것.

이에 따라 대구시는 가칭 '청원심의위원회'를 만들어 고속철의 '지상화' 또는 '지하화' 여부에 대한 대규모 여론조사를 공정하게 실시해 시민들의 뜻을 파악하기로 했다.

또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함께 8월중에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상화' '지하화' 각각의 세부적인 시행 방법과 장.단점, 개발방안을 설명하며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공청회.토론회의 개최도 검토하겠다는 것.

대구시는 이번 설명회에서는 고속철 통과 방식을 지상화로 할 경우 철길 주변 개발을 위해 수용되어야 할 철길 주변의 주택.아파트 등 지장물 자료도 함께 제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그러나 이번 설명회에서는 3.2km 반지하화 방안에 대해서는 별다른 검토를 하지않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구 동구의 경부선 철길 주변 주민들 가운데 일부는 지상화를 여전히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도심 통과 방식의 재검토에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더 이상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만큼 심의위원회를 통해 지상.지하화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뜻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이를 반영해 이 문제를 매듭짓도록 하겠다"면서 "현재 동구 주민들을 중심으로 지상화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작지않다"고 밝혔다.

한편 철도공단측은 오는 9~10월쯤으로 예정된 고속철도 기본계획의 변경 일정에 맞춰 지상화를 이미 결정한 대전 구간에 대해 우선적으로 설계에 들어갈 방침인것으로 전해졌다.

철도공단의 한 관계자는 "대구에서도 하루빨리 지상.지하화에 대한 결정이 이뤄져야 구체적인 설계에 들어가고 기본계획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지상화 결정이 아직 안돼 철길주변 지장물의 수용 여부 등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도상으로 이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말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