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선일씨 피랍...야당의원들 "책임 전가"

감사원 특감 국회 보고

국회 '김선일 국정조사'특위가 28일 감사원으로부터 자체 특감 상황을 보고 받았으나 그간에 제기된 각종 의혹 규명에는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감사원이 김선일씨 구출노력을 등한시했다는 이유로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려 한다는 야당 의원들의 질책도 쏟아졌다.

이날 전윤철(田允喆) 감사원장은 한 달간의 특감활동을 국회에 보고하며 김선일씨 피랍에 대한 정부의 사전인지 가능성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황숙주 감사원 조사단장은 "주 이라크 대사관, 국방부, 국정원 등 정부 관계기관이 피랍 사실을 조기에 인지했다고 볼 만한 관련 자료나 진술은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사전인지설을 부인했다.

감사원은 그러나 가나무역 김 사장이 김씨 구출을 위한 노력이 극히 미미했던 것으로 결론지었다.

전 감사원장은 "김 사장이 피랍 사실을 3주간이나 알리지 않은 것은 사실상 사태를 방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김씨가 납치된 뒤 가나무역측이 이라크인 여성 변호사에게 도움을 청했으나 변호사가 직접 무장단체와 접촉치 못한 채 간접 협상만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원은 "김 사장이 군납사업 유지 등 개인적인 이유 때문에 신고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감사원은 김 사장이 군납사업을 지속하기 위해 피랍사실을 알리지 않는 등 종업원 보호의무를 제대로 하지 않은 혐의(유기치사 혐의)를 적용, 검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그러나 한나라당 박진(朴振) 의원은 "이번 사건에 대한 모든 잘못을 김천호라는 개인에게 전가시키려고 하는 것이라면 그건 상당히 실망스러운 그런 결론"이라고 주장했다.

또 AP통신의 피랍사실 문의와 관련, 외교부에 직원의 문책을 요구키로 했다.

AP측이 6월3일 오후 외교부에 "한국인 실종 사실이 있는가"라고 문의 전화를 했지만, 전화를 받은 공보관실 직원은 중동과 등의 부서에 사실 확인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 이 직원은 이날 퇴근 무렵에야 "실종사실이 없다"고 전화해 줬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