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자리 찾은 DKIST, 힘찬 출발을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이 뒤늦게마나 제자리를 찾은 것은 다행이다.

정부는 최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심의하면서 DKIST를 현행대로 과기부 산하에 그대로 두기로 결정했다.

산자부로 떠넘기려던 당초 계획에 쐐기를 박고 과기부에 존속시킨 것은 DKIST가 갖고있는 과학기술 혁신 기능을 인정한 셈이다.

너무나 당연한 귀결이다.

이제 지역민들은 DKIST가 하루빨리 날개를 달 수 있도록 지역의 역량을 한곳에 모아야할 것이다.

사실 당위성이나 필요성에 비해 중앙에서 푸대접을 받고있는 것이 바로 DKIST다.

이미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기관인데도 도토리처럼 이리저리 채이는 모습을 보면서 지역민은 참여 정부의 지방분권 의지를 의심해왔다.

대구와 경북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한 이유는 신기술 및 신산업 창출기능 결핍 때문이 아닌가. 정부출연 연구기관 하나 없는 이 지역에 이러한 혁신 기능의 선두 주자로 부각된 것이 바로 DKIST다.

그런데도 정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분원으로 세우면 될 것을 굳이 특별법으로 만들 필요가 있었느냐"고 언급하더니 최근에는 산자부로 이관키로 방침을 세운 것이다.

설립 목적인 '첨단산업분야에서 지역산업 기술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그 결과의 산업화'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다행히 지역 정계와 대구시가 이를 간파하고 DKIST의 품격이 떨어지지 않도록 노력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특히 정부는 과학기술 부총리직을 신설하는 등 과학기술을 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

DKIST는 단기 전략상품이 아니다.

지역의 10년후, 20년후를 책임질 사업이다.

과학기술이 바탕이 돼야만 명실상부한 국토 동남권의 R&D 허브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