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김선일 국조' 여야 의원들 추궁

"정부 정보수집력 문제 없었나"

국회 '김선일 국정조사' 특위는 30일 반기문(潘基文) 외교장관, 유보선(兪普善) 국방차관, 장재룡(張在龍) 외교부 본부대사 등 외교 당국자를 불러 김씨 피랍에 대한 정부의 사전인지설과 정부의 재외국민 보호대책, 정보 부재 등을 집중 추궁했다.

또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과 AP통신 서울지국 특파원을 증인으로 채택, 김씨 피랍을 둘러싼 의혹을 따졌다.

열린우리당 송영길(宋永吉) 의원은 "모든 의혹이 가나무역 김 사장의 진술에 달려있고, 역설적으로 정부의 정보 수집 능력이나 분석 능력이 얼마나 취약했는가를 방증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같은 당 최성(崔星) 의원은 "지난 4월부터 이라크 내 혼란이 증폭되면서 한국인에 대한 테러 역시 빈번해져 왔음에도 불구, 정부의 대응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또 "5월초 구체적인 테러 첩보가 접수됐음에도 상부 보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사실에 비춰 외교.안보 라인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장윤석(張倫碩) 의원은 정부의 김씨 피랍 사전인지설과 관련, "김선일씨가 실종.피랍된 뒤인 6월16일 김 사장이 대사관에 들러 1시간 30분간이나 국정원의 파견관과 밀담을 나눴다"며 "국정원은 단순히 '가나무역에 대한 테러첩보가 있다'고 경고만 했다고 하지만 정황상 김 사장이 피랍 사실을 알렸을 가능성도 높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김재원(金在原) 의원은 AP통신 서수경 기자에게 피랍확인 의뢰 전화를 받은 정우진 외무관에 대해 "국민 생명이 달린 중차대한 문제를 그렇게 가볍게 여기고 제대로 확인하지도 않고, 마치 확인한 것처럼 대답하는 바람에 결국 김씨를 구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친게 아니냐"고 추궁했다.

또 장.김 의원은 "현재 감사원에서는 김 사장을 유기치사죄로 수사의뢰한다고 하는데 그런 논리라면 증인은 직무유기로 무거운 처벌을 받아야 할 것이 아니냐"고 질책했다.

송영선(宋永仙) 의원은 김 사장에게 "계속되는 번복 진술과 거짓말이 이번 사건을 점점 미궁 속에 빠뜨리고 있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며 "6월21일부터 나흘동안의 진술 내용 중 납치시점, 피랍대상, 모술에 간 이유 등이 완전히 다르다"고 추궁했다.

송 의원은 또 "김 사장이 협상하던 무장단체와 김씨를 참수시킨 단체는 서로 다르다"며 "처음 납치한 무장단체가 김씨 몸값으로 50만달러를 요구하며 흥정하는 사이 한국이 파병을 결정하고, 미군이 알자르카위가 있는 팔루자에 공습을 가하자 이 단체가 김씨를 알자르카위에게 넘겼다"고 주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사진:30일 오전 김선일씨 피살사건 국정조사 특위에 출석한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이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