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역사전쟁에 敢然히 나서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국가 총력·전면 대응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의 식민역사 왜곡과 달리 고구려사 왜곡은 한민족의 역사적 근원을 송두리째 앗아가는 악질적 행위다.

무역 흑자 80억 달러, 북 핵 중재, 탈북자 처리 등 대 중국외교의 현실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만세에 물려줄 나라의 기틀을 손상당하면서까지 눈앞의 이익에 연연할 수는 없다.

다소간의 국익손실을 감내하더라도 당당하게 중국과의 역사전쟁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국민들의 열망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대통령자문기구인 동북아시대위원회에 "한중일 3국간 역사논쟁을 포괄적으로 연구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외교부는 지난 번 직접 항의 이후 뚜렷한 대책을 찾지 못한 채 장기전 돌입이라는 어정쩡한 발표를 내놨다.

이런 뒷북치기와 면피성 발언으로 국민들의 역사 되찾기 열망을 흐리게 해서는 안 된다.

역사 논쟁 연구는 당연한 일이지만 대통령이 지금 할 소리는 아니다.

강 건너 불 보듯 하다가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을 날린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외교부도 고질적인 피해의식과 소극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항의 한 차례 해보고 입을 다물어버리는 우유부단에 빠져서는 안 된다.

간도의 영토분쟁선언 등 기백 있는 외교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국민들도 차제에 역사인식의 눈을 크게 떠야 한다.

한반도 역사는 북방 진출의 역사다.

고구려가 개척한 구토 회복이 우리 역사의 지향점이다.

조선에만 매몰돼 있는 역사관을 바로잡아 광개토대왕을 민족의 구심점으로 삼고, 대조영을 한민족의 주인공으로 일으켜 세워야 한다.

자신의 역사를 무심히 지나친 우리에게도 이번 사태의 많은 책임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깨달아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