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테크노파크 "지역혁신 중추로 홀로서야"

대구와 경북을 포함한 6개 시범테크노파크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대학 등 출연기관의 지원이 이달 말 완전히 끝남에 따라 향후 테크노파크의 발전방향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6년간 출연기관의 출연금으로 하드웨어 인프라 조성에 주력해 왔던 대구, 경북 테크노파크 등이 지역산업구조 혁신을 위한 중추기관으로 거듭나지 못할 경우 부동산 임대업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하반기 중 이루어질 예정인 홍대일 대구테크노파크 사업단장과 김희술 경북테크노파크 사업단장의 후임으로 누가 선임되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일체의 고정 사업비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테크노파크가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각종 혁신 프로젝트 사업 경쟁에 참여해 수주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발굴 제안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3대 테크노파크 단장으로 중앙정부와 지역의 사정에 밝으면서 풍부한 네트워크를 가진 젊고 유능한 실무.기획형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만일 관료출신을 비롯한 관리형 인재가 사업단장을 맡을 경우, 기존의 건물 등에서 나오는 임대료 등으로 겨우 명맥만 유지하거나 지방정부에 재정을 의존하는 반혁신 조직으로 테크노파크가 전락하기 십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우려다.

전문가들은 "대구테크노파크는 대구벤처센터, 대구e-벤처센터, 성서벤처공장 등 시가 1천억 원에 가까운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고, 경북테크노파크 역시 5만평의 부지위에 본부동, 벤처공장 등과 (주)MK테크, (주)GB테크 등 자립을 위한 자회사도 보유하고 있어 20여 명 정도의 전임 직원 인건비 확보는 사실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혁신 능력이 없는 테크노파크는 사실상 실패작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테크노파크 혁신을 위한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다.

대구와 광주, 경기, 송도 테크노파크는 파견된 공무원들이 모두 복귀했고, 외부 전문가를 공채로 선임했던 ㅊ테크노파크 역시 단장이 사임했다.

반관반민 성격을 가진 제3섹터형 기관으로서 테크노파크의 역할과 위상을 찾는데 출연기관과의 네트워크가 취약한 외부 전문가로서는 역부족이었던 것이다.

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지난 6년이 하드웨어 구축 중심이었다면, 향후 3~5년은 혁신능력을 발휘함으로써 테크노파크가 제자리를 찾는 중요한 기간"이라고 말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