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구려史' 외교부에 노대통령 2선 후퇴

청와대는 9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정리했다.

김종민(金鍾民)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외교현안에 대해서는 외교부에서 적절하게 대응하고 중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한.중.일간의 공동연구와 합의를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 정부의 공식입장"이라고 밝혔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직접 나설 사안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중국의 국가 정상이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일'이라며 대응하지도 않고 있는 상황에서 노 대통령이 전면에 나설 때인지는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즉 여론이 좋지않다고 해서 대통령이 나설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청와대의 생각이다.

청와대는 이를 실용주의적 접근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북핵문제 중재와 경제협력 등 양국간의 관계를 감안할 때 한.중관계가 악화될 경우 부담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청와대의 이같은 입장 정리에 따라 노 대통령이 고구려사 문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입장을 표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청와대 일각에서 검토되던 8.15 경축사를 통한 입장표명 가능성은 적어졌다.

노 대통령이 직접 나서기에는 중국정부의 대응을 좀 더 지켜봐야한다는 신중론이 힘을 얻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 대통령이 표현강도는 달리하더라도 고구려사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힐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이 강조한 한.중.일 3국간의 공동역사연구라는 중장기적인 해법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중국이나 일본이 의도적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 상황에서 강력한 제재수단없이 학술연구차원의 공동연구추진이라는 우리 정부의 방침이 받아들여지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