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직무정지 4곳 단체장 사퇴하라 목소리 커져

뇌물수수 또는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기소된 경북지역 시장, 군수들에게 항소심에서도 유죄 판결이 내려지자 행정공백 최소화를 위해 자진사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산.영천시와 영덕.청도군의 경우 부단체장 대행체제로 운영된 지 벌써 7~10개월을 넘어서면서 주요 현안사업이 추진력을 잃고 표류하는데다 지역 주민간 갈등도 커지고 있다.

영천농민회, 전국공무원노조 영천시지부 등 8개 시민.노동단체들로 구성된 영천민주단체협의회는 20일 성명서를 통해 "박진규 시장이 항소심에서 유죄를 선고받고도 시장직을 유지한 채 대법원 상고절차를 밟는 것은 자신의 명예만을 위해 영천을 공황상태로 만드는 것"이라며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또 "공공기관 유치, 지하철 영천 연장, 영동교 확장공사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며 "박 시장이 자진사퇴하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퇴진운동을 벌이겠다"고 했다.

대행체제가 10개월을 넘어선 영덕의 경우 군수뿐 아니라 경북도의원 2명 등 선출직들이 잇따라 사법처리된 이후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영덕지역 자생단체인 영근회는 지난달 15일 "선출직 공무원들이 비리에 연루돼 재판을 받으면서 집행기능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해 영덕은 선장도 항해사도 없는 난파 직전의 표류선과 같다"는 성명서를 발표하며, 사실상 김우연 군수에게 자진사퇴를 종용했다.

윤영조 시장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지난 2월초부터 대행체제로 시정이 펼쳐지고 있는 경산시 역시 각종 현안사업들이 차질을 빚고 있다.

남산면 환경관리센터는 지난 4월 잠정 합의를 해놓고도 최종협약서 체결이 늦어지며 공사진척도가 12%선에 불과하다.

주민들 사이에선 "언젠가 떠날 부시장을 어떻게 믿고 협약서를 체결할 수 있느냐"는 말이 나돌 정도다.

대구지하철 2호선 연장과 경마공원 유치, 공공기관 유치를 포함한 혁신도시 추진, 경산종합체육공원 조성 등도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청도의 경우 아직 시민단체의 구체적 움직임은 없지만 주민 불안.불만감은 커지고 있다.

일부에선 "소싸움경기장 문제를 해결할 사람은 김상순 군수밖에 없다"며 김 군수의 업무복귀를 바라고 있지만, 다른 일각에선 "2심에서 유죄가 확정된 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사퇴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이들 4개 지역 시민단체 및 주민들은 "오는 10월 보궐선거가 실시돼도 일년 가까운 시정공백이 빚어진다"며 "내년 4월로 선거가 늦춰지지 않도록 현 단체장들의 결심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윤채.박정출.정창구.김진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