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R&D 특구' 대구-경북 갈등

다음달 정기국회에서 처리될 전망인 '연구개발(R&D)특구 육성특별법'(가칭) 제정을 놓고 경북도와 대구시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올해 초부터 '포항 첨단소재 R&D특구' 지정을 청와대와 과학기술부 등에 요청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둔 터에 대구시가 뒤늦게 광주시와 함께 '대구.광주 R&D특구' 지정을 추진해 '포항 R&D 특구' 지정에 차질을 초래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광주시와 함께 '대구.광주 R&D특구'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한데 이어 대구.광주 출신 국회의원들을 앞세워 국회는 물론 정부관계 부처를 상대로 치열한 로비를 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올초 청와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로부터 '포항 R&D 특구' 지정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으며, 지난달 포항공대에서 열렸던 '대구.경북지역 혁신발전 5개년계획 보고회'에서도 포항 R&D특구 지정을 대통령에게 건의해 '긍정 검토' 답변을 이끌어냈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지난달 27일 청와대에 '포항 첨단소재 R&D특구 지정'을 다시 건의하는 한편 지난 5일에는 경북도 부지사를 추진위원장으로 하는 '추진협의회 및 실무추진팀'을 구성했다.

포항시 최원삼 첨단과학과장은 "포항은 R&D특구 지정을 위한 기반시설이 대덕에 뒤지지 않는 만큼 대구시가 21세기 대구.경북의 동반 발전 차원에서 포항의 특구 지정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항 첨단소재 R&D특구'는 포항공대.포항방사광가속기.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포항나노기술집적센터.생명공학연구센터 등이 밀집돼 있는 지곡단지(180만평)를 비롯해 포항테크노파크 2단지(87만평), 영일만신항 배후공단(180만평) 등 447만평이다.

반면 대구시 김종한 과학기술진흥과장은 "포항은 해양적 특성을 활용한 도시발전 가능성이 있지만 내륙도시인 대구는 이같은 이점이 없는 만큼 지식기반산업 육성이 바람직하다"며 "경북대, 계명대 등 연구역량을 갖춘 대구에 R&D 특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포항.임성남기자 snlim@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