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R&D특구 '윈·윈'하나

R&D 특구 지정을 놓고 '마찰'을 빚어왔던 대구시.경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만나 윈-윈 전략 마련에 나섰다.

황성길(黃成吉) 포항 부시장 등 지역 관계자들이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위원장 이해봉) 위원들을 방문, 포항과 대구가 모두 특구에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대안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황 부시장은 먼저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 특구 추진을 대구가 먼저 추진했고 포항이 뒤늦게 들어온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라며 "지난 2년간 경북도가 추진한 용역보고서를 봐도 알 수 있듯이 경북이 먼저 추진한 사업"이라며 '후발주자'인 대구시에 섭섭함을 표했다.

하지만 일부 의원들이 "대구-경북간 불협화음을 내기보다는 상생의 진로를 찾자"고 의견을 제기하자 참석자들은 모두 '함께 공생하는 윈-윈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나라당 김석준(金錫俊) 의원은 "정치권에서는 대구.경북 초선의원 모임에서 지역 현안 협력을 위한 공동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 "언젠가 없어질 대구.경북의 경계선을 허물기 위해 대구.경북에 기울이는 관심에 균형을 갖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같은 당 강재섭(姜在涉) 의원은 "일본의 경우 교육특구, 온천특구, 심지어 장기이식 특구까지 있는 등 산업특화 차원에서 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특구 지정은 기본적으로 산업을 활성화하자는 것이 취지이기 때문에 정부가 인색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비례대표 서상기(徐相箕) 의원은 '상생'의 구체적 대안까지 마련했다.

그의 안에 따르면 일단 '대덕 R&D 특구지정법'에서 대덕이란 명칭을 삭제, 언제든지 타 지역도 자격 요건만 되면 특구에 지정되도록 하자는 것.

서 의원은 "대덕만을 지정한다는 것은 국가 균형 발전 차원의 형평성에 맞지 않고 정부 측에서도 이를 인정하고 있어 법안 명칭을 바꾸는데는 문제가 없다"면서 "다만 대구.포항이 함께 지정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논리 개발과 두 지역의 협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황 부시장은 회의를 마친 뒤 "대구시와의 오해가 다 풀렸다"며 "반목에서 벗어나 협력해야만 발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