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따 요거시 머시당가?...참말로 거시기 혀 불제…."
일정에 없이 들른 듯 전시장의 노인 둘은 그림 앞에서 연신 놀랍니다. 생소한 풍경들이 새삼스러웠나 봅니다.
지금, 서울시립미술관에서는 '삶의 풍경'이란 제목으로 시 한편을 가지고 다양한 양태의 일상을 '회화'로 둔갑시켜 보여줍니다. 시인 황지우의 '살찐 소파에 대한 일기'라는 시가 그것입니다.
문학이 회화적 서술로 옮겨가는 흥미와 평면의 영원성을 말해 주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붐비는 전시장에서 낡은 소파에 앉았지요. 그러나 품위를 잃지 않은, 한 시절 고급했을 소파는 이 전시의 중심에 있는 것 같습니다. 그곳에서 내 그림의 문학적 수사나 자의적 해석을 시작한 까닭을 소급해 보기도 했습니다.
화중유시(畵中有詩)라고 그러지요. 그림 속에 시가 들어가 현재를 말하는 듯 합니다. 작위가 숨겨진 가죽소파는 찢어진 속을 드러내 자기 고백 같은 풍경을 분홍빛으로 그려 놓았지요. 몸의 부재는 공허한 싹을 키우고 실체가 빠진 옷은 허무한 현실 같습니다.
숲 속의 아스라한 빛 사이에 몽롱한 눈의 소년, 그리고 하나의 소파. 작가는 '괘종시계가 내 여성을 사각사각 갈아먹는 소리를 조용히 듣는다'는 식입니다. 안락함을 부추길 듯한 살찐 소파는 정작 없는데 두 남녀의 엉킴만이 오롯이 드러납니다.
'하루가 또 이렇게 나에게 왔다…. 사실은 비닐로 된 가짜 가죽을 뒤집어쓰고….'
시인의 통찰을 붓의 각질을 벗겨 화가들이 얘기합니다. 삶과 무관하지 않은, 불온하기 짝이 없는 현실을 평면 위에 재생시켜 놓습니다.
미디어, 영상, 설치 등 개념이 잠식한 것처럼 보이는 작금에 홀대의 시간을 견디며 '회화'가 돌아온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번듯한, 그래서 더욱 사려 깊어 보이는 미술관에서 텍스트 하나를 읽은 느낌입니다.
권기철(한국화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